김성진2
경기도 융합기술원 정밀의학연구센터장 김성진 박사는 "자신이 30여년간 연구한 TGF-beta를 조절할 수 있다면 암 정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김종택기자 jongtaek@kyeongin.com

# 암 연구와 암 정복에 대한 철학은
=그간 암 죽이는데 집중, 세포성장 단백질 조절하면 치료 가능할 것

# 美 임상실험 앞둔 신약개발 성과 비결은
=장기관점 투자·연구와 경영 이원화, 기술·자본·매니저 있어야 성공

# 4차 산업 육성에 꼭 필요한 제언은
=넓은 네트워크 가진 인물 중요, 과학자 겸업 막으면 산업화 걸림돌

2018040301000224600010904
"두 개의 꿈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연구소를 만드는 꿈, 세계적인 약을 만들어 한국 신약개발에 비전을 제시하는 꿈."

30여년간 암 유전체와 암 전이, 암 예방 등을 연구한 김성진 경기도 차세대 융합기술원 정밀의학 연구센터장은 최근 난치성 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의 주요 원인 물질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세계 의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그에게 세계 최초의 수식어는 처음이 아니다.

1994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종신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암 세포에서 'TGF-beta' 수용체 유전자의 결손과 돌연변이를 규정한 것도 김 박사가 최초다.  

 

김성진6

가천대 의대로 자리를 옮기고 나서 지난 2009년에는 한국인 최초로 자신의 유전체 전체를 해독해 화제가 됐다. 미국에서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유전체 해독에 성공한 지 5년만이자 세계에서 5번째였다.

지난 2일 융합기술원에서 만난 김 박사는 그간의 연구와 암 정복에 대한 철학을 설명했다.

김 박사는 "지난 수십년 간 세계에 많은 과학자들이 암 정복에 나섰지만 아직 완전한 정복은 이뤄지지 못했다"며 "그간 연구들이 암 세포를 죽이는 데 집중했다면 이제는 암 세포가 성장하는 환경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암 연구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암 세포가 성장하는 환경을 조절하는 것은 김 박사가 30여 년간 연구한 'TGF-beta'에 답을 찾을 수 있다. 그가 암 정복의 선구자로 불리는 이유다.

암 세포가 만들어내는 'TGF-beta'는 일종의 방패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세포가 성장하고 분열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단백질로, 이 신호를 조절하면 세포를 증식, 분열, 사멸하게 만들 수 있는 데 암 세포는 이를 이용해 면역이 공격을 할 수 없게 만들고 혈관을 확장시켜 성장에 최적화된 환경을 만든다.

김 박사는 TGF-beta를 처음 발견한 마이클 스폰 박사와 아니타 로버츠 박사의 제자로, 1980년대 TGF-beta 연구 초창기부터 그 가능성에 주목해왔다.

그는 "앞서 암 세포를 죽이는 치료제는 많이 나왔기 때문에 TGF-beta를 조절할 수 있다면 암 정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자신이 가진 독보적인 기술을 활용해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한 제약회사에 부회장이자 기술 자문으로 참여, 신약 개발에 대한 토양이 척박한 대한민국 BT산업을 이끌고 있다.

10년 가까이 적자를 보더라도 50억 원씩은 신약 개발에 재투자한다는 원칙을 고수한 결과, 개발한 신약이 미국에서 임상 실험을 앞둔 단계까지 왔다.

2018040301000224600010905

"지난 2007년 이길여 암당뇨연구원 원장을 제안받고 한국으로 돌아올 때 세계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연구소를 만들고, 또 세계적인 신약을 만들어 대한민국 신약개발에 비전을 제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며 "점차 꿈에 근접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고 했다.

그는 이같은 성공의 비결로 끊임없는 투자와 과학자-CEO의 이원화를 꼽았다. 당장의 적자 때문에 투자를 줄이지 않았고 눈 앞에 성과를 쫓지 않았기에 독보적인 기술을 가질 수 있었고 신약 개발까지 이어졌다는 것이다.

아울러 제약회사의 최대주주로 있으면서도 경영은 전문 CEO에게 맡기고 자신은 과학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한국은 장기적인 투자를 못했다는 점이 아쉽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연구의 테마가 바뀌면서 한 분야를 깊이 있게 다루지 못했고 그 결과로 기초과학, 원천기술이 발전을 하지 못하게 됐다"며 "경제성장단계에서는 복제약 개발로 빠르게 따라가면 성공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투자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투자 성과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BT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이 만들어진다고 제언했다.

또 과학자-CEO가 분리돼야 벤처기업이 자리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즉,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요리사와 식당을 경영하는 경영자는 다르다는 것이다.

"바이오 벤처기업이 성공을 거두려면 기술이 있어야 하고, 자본이 있어야 하고, 매니저가 있어야 한다"며 "기초과학을 한 사람이 갖지 못한 네트워크, 자본을 끌어올 네트워크나 협력할 회사들의 네트워크 등을 잘 아는 사람이 경영을 맡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미국의 사례를 들어, 의류 산업 벤처기업으로 성공을 한 CEO가 의약 부문 벤처기업 CEO를 맡아 제약회사를 크게 키우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매니저는 산업 부문을 뛰어넘어 기업을 성공시키는 노하우를 가진 전문 CEO가 맡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우리나라 의약 벤처 기업을 위해서도 넓은 네트워크를 가진 인물을 양성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김성진7

자신의 경험을 빗대어 4차 산업 육성에 대한 제언도 빼놓지 않았다. 김 박사는 '사람에 대한 투자'가 빠르게 변화하는 지금의 경제환경, 다가올 4차 산업혁명에서 앞서 갈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그는 "중국은 해외에서 활약하는 1천명의 전문가를 다시 국내로 부르는 프로젝트를 통해 개개인이 가진 수십 년의 노하우를 모아 단숨에 과학기술 발전을 이끌어냈고 일본도 이와 유사한 스타프로젝트로 과학기술을 선도해가고 있다"며 사람에 대한 투자를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에서도 기초과학연구원을 설립해 투자를 하고 있지만 원칙적으로 과학자들의 겸업을 막아 우수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산업으로 만드는 데 제약이 된다"며 과학자들이 더욱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유인을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한국으로 돌아올 때 자신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박차를 가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자신이 센터장으로 있는 융기원 정밀의학 연구센터를 통해 의약 벤처들의 길을 열겠다는 것.

펀드를 운영해 연구를 지원하고 연구 성과의 일부를 회수하는 조건으로 자본력을 키우고 과학자에게 다양한 유인을 제공해 기술개발에 불을 붙이겠다는 계획이다.

경기도의 먹거리를 찾는 투자를 여러 연구와 매칭시키겠다고 자신의 청사진을 설명했다.

김성진 박사는 "처음 한국에 왔을 때 국내에서는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세워놓은 원칙을 포기하지 않은 결과, 세계적 신약을 만들겠다는 꿈이 가시화되는 시점에 왔다"면서 "성공사례를 만들어 한국 바이오의 꿈을 키워주고 싶다"고 했다.

글/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 사진/김종택기자 jongtae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