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유일의 무역항인 평택항은 사통팔달 교통의 요지로 내륙 교통망의 '관문 항(港)'이다.

서울, 경기, 인천, 충청, 대전 등에 밀집해 있는 인구는 3천21만여명. 전체 인구의 60%에 달한다. 포승국가산업단지 등 수도권과 중부권에만 435개의 산업단지가 집중돼 있다. 국내 총생산(GDP)의 61%(911조 원)가량을 생산하는 경제의 중심에 평택항이 있는 것이다.

평택항을 통한 교통망도 10여개에 달한다. 고속도로 5개(경부, 서해안, 평택-화성, 평택-수원, 평택-충주), 국도 8개(1, 34, 38, 39, 43, 45, 77, 82), 철도 5개(경부, KTX, 수서-평택, 서해안, 포승-평택) 등이 평택항으로 연결돼 있다.

이 때문에 물류 시장에서 소비와 생산의 중심에 있는 평택항은 절대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다.

2018040401000413100019811

전국화물자동차운송사업연합회는 평택항에서 출발한 40 FT 컨테이너 1대가 왕복 시 서울 36만4천원, 수원 31만7천원, 천안 30만6천원, 청주 40만8천원, 대전 51만원 등의 운임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 표 참조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수원, 천안, 청주, 대전 지역까지 인천항보다 더 저렴하고 더 빠르게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셈이다. 화물 입항비 역시 컨테이너 기준 1TEU당 평택항 2천741원, 인천항 4천200원, 부산항 4천429원 등 순으로 최저 물류비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평택항은 삼성, LG, 현대, 기아차 등 국내 대기업의 수출 기점 항만이자 중국 연안산업 벨트, 베트남 및 동남아시아, 일본을 연결하는 동북아시아의 전진 기지로 성장할 전망이다.

/김종호·조윤영기자 jy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