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는 역북2지구 개발사업 등 관내 5개 개발사업 대상지와 민원지역 797가구를 하수처리구역에 편입했다.
이에 따라 하수용량 부족으로 개발이 지연됐던 상당수 개발지구의 사업이 빠르게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지난달 23일 한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하수처리구역 추가 편입을 주 내용으로 담은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부분변경안'을 승인 받았다.
편입된 개발지역은 용인처리구역 내 역북 개발지구와 고림, 진덕지구개발사업지, 기흥처리구역 내 영덕1공원 공동주택건설대상지, 남사처리구역 내 통삼산업단지 부지 등이다.
또 소규모 하수도처리구역 중 수변구역과 특별대책구역에 위치해 불편 민원을 제기한 797가구도 하수처리구역에 편입했다.
하지만 당초 용인하수처리구역 내 위치했던 용인테크노밸리는 지난 2016년 12월 한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일반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시설 기본계획 승인을 받고 하수처리장을 자체적으로 설치키로 해 구역에서 제외됐다.
전체 하수처리구역은 당초 97.05㎢에서 0.04㎢로 줄어 97.01㎢로 조정됐지만 공공하수처리구역 내 0.13㎢가 줄고 소규모 하수처리구역에서 0.09㎢가 늘어난 것이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 2015년에 수립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에 대해 각종 개발사업과 주민 민원 등을 반영한 부분 변경안을 만들어 지난해 9월에 한강유역환경청에 승인을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하수처리시설 용량 배정을 받기 어려워 추진이 지연된 개발사업들이 원활해지고 민원가구들의 불편도 해소될 것"이라며 "하수도 보급률 확대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하수용량 부족으로 개발이 지연됐던 상당수 개발지구의 사업이 빠르게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지난달 23일 한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하수처리구역 추가 편입을 주 내용으로 담은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부분변경안'을 승인 받았다.
편입된 개발지역은 용인처리구역 내 역북 개발지구와 고림, 진덕지구개발사업지, 기흥처리구역 내 영덕1공원 공동주택건설대상지, 남사처리구역 내 통삼산업단지 부지 등이다.
또 소규모 하수도처리구역 중 수변구역과 특별대책구역에 위치해 불편 민원을 제기한 797가구도 하수처리구역에 편입했다.
하지만 당초 용인하수처리구역 내 위치했던 용인테크노밸리는 지난 2016년 12월 한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일반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시설 기본계획 승인을 받고 하수처리장을 자체적으로 설치키로 해 구역에서 제외됐다.
전체 하수처리구역은 당초 97.05㎢에서 0.04㎢로 줄어 97.01㎢로 조정됐지만 공공하수처리구역 내 0.13㎢가 줄고 소규모 하수처리구역에서 0.09㎢가 늘어난 것이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 2015년에 수립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에 대해 각종 개발사업과 주민 민원 등을 반영한 부분 변경안을 만들어 지난해 9월에 한강유역환경청에 승인을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하수처리시설 용량 배정을 받기 어려워 추진이 지연된 개발사업들이 원활해지고 민원가구들의 불편도 해소될 것"이라며 "하수도 보급률 확대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용인/박승용기자 ps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