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탄장 옆 솔숲
수탄장에서 바닷가쪽에 조성된 솔숲. 현재는 이 솔숲을 통해 국립소록도병원과 중앙공원을 찾을 수 있다. 사진/광주일보 김진수기자 jeans@kwangju.co.kr

푸른눈 간호사 마리안느·마가렛
40여년간 한센병 환자 자원 봉사
약자 향한 따뜻한 손길 희망전해

2018041801001580600078379
#소록도는 희망이다

1960년대 가난했던 시절, 파견 간호사로 소록도 땅을 밟은 오스트리아 여성 두 명이 있었다.

두 여인은 5년의 파견 기간이 끝난 뒤에도 소록도에 남아 70대가 될 때까지 봉사하다가, 2005년 홀연히 고국으로 떠났다.

푸른 눈의 천사 마리안느와 마가렛 이야기다. 소록도 한센인들은 이들을 '할매'라 불렀다. 두 할매는 '수녀'로 알려졌지만 수녀가 아니다. 간호사다.

20180418010015806000783710
소록도병원에서 40여년간 한센병 환자를 치유했지만 월급 한 푼 받은 적이 없다. 순수 자원봉사였다. 월급을 받은 적이 없어 연금도 없다.

두 할매가 나이 70세에 소록도병원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소록도 한센인들은 두 할매가 떠나자 박수를 쳤다. 오스트리아에 가면 수녀원에서 노후를 편안히 지낼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서였다.

하지만 그렇지 못했다. 빈손으로 돌아온 할매를 누가 환영했겠는가. 두 할매는 이를 알면서도 떠났다. 한센인들에게 짐이 되지 않겠다면서….

60년대 어려운 시절, 우리의 엄마 역할을 했는데도 우리는 두 할매의 노후를 챙기지 못했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다. 마리안느·마가렛에게서 인간성에 대한 희망을 본다. 사람에게는 이러한 본성이 있다는 걸 자각하게 한다. 그래서 소록도는 희망이다.

세상의 희망을 이야기하는 곳이다. 진실을 알아가는 것, 인간성을 보고 아픔을 이겨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 기쁘게 살아가는 모습을 바라보는 것, 그 자체가 의미이고 봉사다.

'사람에게 희망찾기 프로젝트'가 소록도에서 한창이다. 그 하나로 영화 '마리안느·마가렛'이 제작됐다. 마리안느·마가렛 노벨평화상 운동과 마리안느·마가렛 자원봉사학교 개설도 같은 맥락이다.

자원봉사학교는 인권·소통·봉사 교육이 목적이다. 마리안느·마가렛처럼 약자에게 어떻게 다가갈 것인가, 어떻게 자존감을 살려줄 것인가를 가르치고 배운다.


소록도 벽화
중앙공원으로 가는 길에 그려진 벽화. 섬의 이름을 뜻하는 어린 사슴이 붉은 색으로 그려져 이곳의 아픈 역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사진/광주일보 김진수기자 jeans@kwangju.co.kr

인권유린 흔적담긴 한센병박물관·천륜 끊어놓은 수탄장등 굴곡의 역사 고스란히
김연준 신부 "방문하는것 자체가 곧 봉사… 이곳에서 편견 없애기가 시작됐으면"
소록도서 배로 5분 '예술 섬 연홍도'… 정크아트로 꾸민 골목·멋스러운 풍광 눈길


#소록도는 봉사·힐링이다

소록도 방문 자체가 봉사다. 상대의 아픔을 공감하고 나의 아픔을 위로받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소록도는 희망이자 힐링이며, 함께 해온 사람에 대한 사랑이다.

소록도는 과거의 한(恨)·상처·고통의 땅에서 이제 희망의 땅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곳에서 위로를 받는다. 사소한 것에 상처받고 포기하기 일쑤인데 이 곳에 오면 아픔과 고통을 위로받게 된다. '작은 상처는 큰 상처를 만나면 치유된다'는 처방인 것이다.

연홍도

김연준 신부는 "소록도는 대한민국의 진주"라고 했다. 진주는 조개 속 돌멩이다.

생명체에 돌멩이가 생기면 얼마나 고통스럽겠는가. 너무 고통스러워 뱉어내려 하지만 쉽지 않다. 고통을 줄이려 조개는 자신의 몸을 액으로 감싼다.

액에 감싸인 돌멩이는 시간이 흘러 진주가 된다. 고통 속에 건져올린 보석이 진주다.

미물의 눈물이 이럴진대, 인간의 눈물은 얼마나 값지겠는가. 소록도의 사연이 꼭 그렇다. 김 신부는 "소록도를 방문하는 것 자체가 봉사다. 편견을 없애는데 일조하기 때문"이라며 "이 곳에서 '편견 없애기'를 시작하자"고 권했다.

소록도 감금실
일제시대 인권탄압의 상징으로 한센병 환자들을 감금하고 감식, 금식, 체벌, 강제노역 등 징벌하던 곳이다. 등록문화재 제67호 사진/광주일보 김진수기자 jeans@kwangju.co.kr

소록도 중앙공원
#소록도는 인권이다

소록도는 작은 사슴을 닮았다고해서 이름 붙여졌다. 하지만 이름처럼 예쁘지만은 않은 사연을 간직한 섬이다. 한센병으로 평생 격리돼 살아야 했던 한센인들의 아픔과 슬픔이 배어 있다.

바다 풍경을 따라 해송이 도열한 진입로는 인상적이지만, 강제로 천륜을 끊은 장소이기도 하다. 부모와 자녀가 도로 양 옆으로 갈라선 채 일정한 거리를 두고 눈으로만 혈육을 만나야했던 곳, 그래서 탄식의 장소 '수탄장(愁嘆場)'이다.

중앙공원 주변에는 퇴색한 붉은벽돌 건물이 여럿이다. 감금실과 검시실, 녹슨 철창살이 굴곡의 역사를 가둔 채 존치돼 있다.

대부분의 건물이 문화재다. 위쪽에는 마리안느와 마가렛 집이 있다. 두 할매가 43년간 살았던 집이다. 진정한 사랑의 집이고 헌신의 집이다. 그리고 우리 모두를 부끄럽게 하는 집이며 자원봉사자들의 성지이다.

소록도병원 앞쪽에는 한센병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검시실 등에서 자행된 각종 수술기구와 강제노역 도구 등 인권 유린의 흔적들이 고스란히 간직돼 있다. 그리고 지난 100년 한센병을 이겨냈던 그들의 삶과 이야기들이 살아 숨쉬고 있다.

연홍도
예술의 섬 연홍도 골목 사진/광주일보 김진수기자 jeans@kwangju.co.kr

#예술의 섬 '연홍도'

소록도에서 거금대교를 건너면 거금도이고, 거금도 신양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5분이면 연홍도에 닿는다. 'ㄱ'자 모양으로 떠있는 연홍도는 면적 55만㎡, 해안선 4㎞에 불과한 작은 섬이다.

이 자그마한 섬이 주목받은 건 섬 전체가 미술관인 까닭이다.

폐교된 금산초등학교 연홍분교에는 미술관이 있었다. 2012년 태풍 볼라벤으로 큰 피해를 입어 방치되다가, 2015년 전남도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되면서 전국 최초 예술의 섬으로 꾸몄다.

바닷가에 버려진 부표·로프·노·폐목같은 어구와 조개·소라껍데기 등을 활용한 정크아트 작품 60여 점이 바닷가와 골목길에 설치됐다. 마을 풍광도 멋스럽다.

파랑과 빨강 계열의 지붕이 시선을 사로잡는 마을 풍경이 예술작품으로 손색이 없다. 마을 담벼락에는 주민들의 졸업과 여행, 결혼 등 특별한 순간을 담은 옛 사진 200여 점이 타일로 붙여져 있다.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불리는 고흥을 대표하는 예술의 섬이다. 산책길도 길지 않지만 3개 코스가 있다. 선착장에서 연홍미술관을 거쳐 마을회관 쪽으로 돌아오는 1천160m의 '연홍도 담장 바닥길'이 있다.

선착장에서 왼쪽으로 섬의 한쪽 끝을 돌아 마을회관 쪽으로 가는 1천760m의 '아르끝 숲길'도 있다. 반대쪽 끝에 다녀오는 940m의 '좀바끝 둘레길'도 있다.

소록도
소록도 마리안느 마가렛의 집. 사진/광주일보 김진수기자 jeans@kwangju.co.kr

#가는 길

고흥 소록도는 멀다. 하지만 가보면 볼 것, 먹을 것, 즐길 것이 지천이다. 광주에서는 승용차로 2시간가량 걸린다. 서울에서는 강남센트럴시티에서 녹동행 고속버스를 이용하면 5시간가량 걸린다. KTX는 순천까지 2시간30분, 순천(터미널)에서 녹동행 직행버스로 1시간30분 더 가면 닿는다. 부산(사상터미널)에서는 벌교터미널을 거쳐 녹동터미널로 가야 한다. 소요시간 4시간30분.

#맛집


소록도 바로 앞 녹동항에는 수산물이 풍성하다. 수협 위판장과 인근 어시장, 횟집 등에서 싱싱한 횟감을 즉석에서 맛볼 수 있다. 멸치·어포 등 각종 건어물과 반쯤 말린 생선 등 실속있는 음식재료를 구입할 수 있다. 참장어·낙지·삼치·전어·서대·굴·매생이는 '고흥 9미(味)'다.

광주일보/박정욱기자 jwpark@kwangju.co.kr 일러스트/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

2018041801001580600078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