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h2008111904600001300_p2.jpg
향년 84세를 일기로 별세한 작가 최인훈. /연합뉴스DB
소설 '광장'의 작가 최인훈이 23일 별세했다.

유족들에 따르면 최인훈 작가는 4개월 전 대장암 말기 진단을 받아 투병해오다 이날 오전 10시 46분 고양시 명지병원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조용히 삶을 마감했다. 향년 84세.

고인은 1960년 11월 '새벽'지에 발표한 중편소설 '광장'으로 문단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이후 많은 작품들로 한국 문학사에 한 획을 그은 원로 작가였다.

공식 출생기록은 1936년이지만, 이보다 2년 빠른 1934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난 고인은 고등학교 재학 중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월남했고, 1952년 서울대 법대에 입학했다. 하지만 6학기 만에 전후 분단 현실 등으로 갈등한 끝에 1956년 중퇴하고 2년후인 1958년 군에 입대해 6년간 통역장교로 복무했다.

고인이 문단에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은 군 복무 중이었던 1959년 이었다. 한국전쟁 직후 혼란이 거듭되던 시기였던 당시에 단편소설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와 '라울전(傳)'을 '자유문학'지에 발표하며 등단한 고인은 다음해인 4·19혁명이 전국을 휘몰아친 직후인 1960년 11월 '새벽'지에 중편소설 '광장'을 발표하며 문단에 우뚝 섰다.

최인훈의 '광장'은 한국전쟁 후 분단과 이데올로기 대립이 지배하던 시절의 한국 현실을 치열하게 성찰한 작품으로, 전후 한국문학의 지평을 새롭게 연 기념비적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그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개작되며 완성도를 높여 지금까지 한국의 대표적인 중장편 소설 중 하나로 널리 읽히고 있다. 출간 이후 현재까지 통쇄 204쇄를 찍었고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최다 수록 작품이라는 기록은 '광장'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와 문학적 완성도를 증명한다.

고인은 자신의 대표작 '광장'에 대해 "4·19는 역사가 갑자기 큰 조명등 같은 것을 가지고 우리 생활을 비춰준 계기였기 때문에 덜 똑똑한 사람도 총명해질 수 있었고, 영감이나 재능이 부족했던 예술가들도 갑자기 일급 역사관이 머리에 떠오르는 것 같은 분위기였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광장'은 내 문학적 능력보다는 시대의 '서기'로서 쓴 것이라고 말하곤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고인은 '광장' 뿐 아니라 '회색인'(1963), '서유기'(1966), '총독의 소리'(1967~1968) 연작, '화두'(1994) 등 분단이나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 대립 등을 다룬 대표작들을 계속 발표하며 1990년대 말까지 한국문단을 이끌어 갔다.

2003년 계간지에 발표한 단편 '바다의 편지'를 끝으로 새 작품을 내지는 않았지만, 고인은 "창작하는 사람들에게 은퇴란 없다. 지금도 여전히 글을 쓰고 있다"고 말하며 끊임없는 창작에 전념하고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고인의 이름은 해외에도 알려져 '광장'이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중국어 등으로 번역 출간되기도 했다.

고인은 동인문학상(1966),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1977), 중앙문화대상 예술 부문 장려상(1978), 서울극평가그룹상(1979), 이산문학상(1994), 박경리문학상(2011) 등을 받았다.

1977년부터 2001년 5월까지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많은 문인 제자를 배출하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원영희 여사와 아들 윤구·윤경 씨가 있으며,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고인의 장례는 '문학인장'으로 치러진다. 

영결식은 25일 오전 0시, 장지는 고양시 소재 '자하연 일산'이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