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00
빙인자 대표는 "자율방재단이 좋은 일을 정말 많이 하는데 사람들이 무슨 단체인지 잘 모른다"고 서운해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환경정화 등 각종 봉사 스케줄 빼곡
어르신 마을버스 배차 불편 해소 등
어려운 곳 달려가 도움 손길 힘 보태

2018090301000059300003182
"타인의 도움을 받았던 대로 언제가 꼭 갚아야겠다는 다짐을 하며 살고 있습니다."

빙인자(57) 김포시자율방재단 구래·마산동 대표를 만나기로 한 날까지 정확한 시간약속을 잡을 수 없었다.

이날 낮에만 두 군데 봉사활동이 계획돼 있던 그는 만나자마자 "언제 갑자기 불려갈지 모른다"고 했다. 세 번째 봉사활동인 금빛수로 환경정화에 참여한다면서 인터뷰를 마치고 서둘러 떠나는 광경은 스케줄에 치이는 스타를 연상케 했다.

따져보면 빙 대표는 구래·마산동 민원인들의 인기스타다. 자율방재단 외에도 구래동 주민자치분과장, 구래동 나눔냉장고(소외이웃 식품 지원) 사무총장, 또 '우리동네 통장님'으로 일하며 하소연할 곳 없는 주민들의 대변인 역할을 하고 있다. 노인들의 마을버스 배차간격 불편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빙 대표만큼 '품앗이인'이라는 표현이 잘 들어맞는 사람이 없다. 몇 해 전 울산 수해 현장을 비롯해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이라면 몸을 사리지 않고 뛰어간다.

종일 재난복구에 몰입하다가 기진맥진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최근에는 신곡수중보 소방관 실종현장에서 밤늦게까지 조용히 밥차를 운영하며 힘을 보탰다.

빙 대표는 "가진 건 몸뿐이라 매사 온 힘을 다해 봉사하고, 안타까운 일을 당한 분들에겐 마음의 위로까지 드리려 한다"고 말했다.

서울 성동구에서 작은 의류공장을 운영했던 그는 7년 전 김포로 이사하고부터 봉사활동에 눈을 떴다. 지병 수술을 하고 우울감이 찾아올 무렵 지인의 권유로 새마을부녀회 활동을 시작, 방범순찰과 사랑의밥차 봉사로 반경이 넓어지다가 지금에 이르렀다.

빙 대표는 "IMF 직격탄을 맞고 얼마 뒤 남편과도 사별했을 때 주위에서 아이들 학비를 도와준 덕분에 착하고 바르게 장성했다"며 "당시의 기억이 평생 가슴 속에 있었고, 언젠가 갚아야겠다는 다짐을 하며 살았다"고 회상했다.

형편이 어려운 이웃들을 정기적으로 후원하기도 하는 그는 "얼굴도 모르는 누군가가 나처럼 사회의 온정을 느껴서 절망하지 않고 행복하게 지냈으면 좋겠다"며 "그 사랑이 결국 또 다른 누군가에게 퍼지지 않겠느냐"고 기대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