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 / 행복도시 부평
지난 7월 부평구청에서 직장어린이집 아동과 학부모들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부평구 제공

20180926010008773_21.jpg
 

 

 

 

"정부가 국민을 행복하게 하지 못한다면, 그 정부는 존재할 이유가 없다."

1729년에 만들어진 부탄왕국 법전에 적힌 구절이다.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꼽히는 부탄은 200여 년 전 법전의 내용처럼 '행복'을 국가의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아 운영되고 있다.

'국민총행복(GNH·Gross National Happiness)'은 부탄의 국정운영 철학이자 국정 지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 국가가 소득을 중심으로 한 국민총생산(GDP)을 주요 지표로 삼는 것과 대조된다. 

 

창간기획 / 행복도시 부평
부평구청 일대 전경. /부평구 제공

인천 부평구는 부탄의 이러한 '행복 우선 정책'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행복'을 도시 운영의 주요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부평구는 부탄을 비롯해 국내외 행복 관련 정책 등을 참조해 지난해 '행복실감 부평 구현을 위한 행복지표'를 개발했다.

지표는 구정의 궁극적 목표인 부평구민의 총행복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됐다. 특히 부평구민의 행복결정 요인, '아직 행복하지 않은 구민'의 속성과 원인 분석 등을 위해 활용할 예정이다.

부평구 행복실감지표는 ▲건강·복지 ▲문화·여가 ▲가족·공동체 ▲생활수준 ▲환경 ▲보육·교육 ▲거버넌스(주민자치) ▲안전·안심 ▲심리적 웰빙 등 모두 9개 영역에 30개 지표로 구성됐다.

창간기획 / 행복도시 부평
지난 7월 '책 읽는 부평'의 일환으로 진행된 북콘서트. /부평구 제공

2018091601001128700055746
구는 지표 개발과 함께 지난해 9월 2천32명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구는 지표에서 부탄의 행복지수를 벤치마킹해 충분문턱과 행복문턱 개념을 도입했다.

0점부터 10점까지 돼 있는 각 지표에서 7점 이상을 얻으면 그 영역 또는 지표의 행복문턱을 넘은 것으로 파악했다. 영역별 행복도를 측정한 것이 충분문턱이라면 행복문턱은 구민이 체감하는 전반적인 행복도를 측정한 값이다.

소득이 높아 생활수준 영역에서 충분문턱을 넘을 수 있지만, 건강이 나쁘거나 이웃과의 사이가 나빠 다른 영역에서 충분문턱을 넘지 못할 수 있다. 행복문턱은 9개 전체 영역을 고려해 행복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개념이다. 


201810080117c1.jpg

부평구는 9개 영역 중 6개 이상의 영역에서 충분문턱을 넘은 구민을 '행복한 사람'이라고 정의했고, 조사 대상 중 55.6%가 행복한 사람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하지 않은 사람의 비중은 44.4%였다.

행복지수는 응답자의 상황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이혼한 경우보다 더 행복하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가장 행복하고 70대 이상 고령층이 가장 행복하지 않다고 답했다.

가구 유형별로는 1인가구의 행복도가 낮았다. 영역별로는 생활수준(일자리와 소득 등의 경제적 여건), 안전·안심 영역의 점수가 높지 않았다.

창간기획 / 행복도시 부평
지난 9월 진행된 '2018부평사회적경제마을한마당'. /부평구 제공

부평구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행복실감도시 부평'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다.

특히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의 비중을 줄이고, 구민 전체의 행복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인 정책으로 구현하기 위한 '정책 과제'를 연구하고 있다.

부평구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행복지표를 토대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해 구민의 행복도를 연구할 것"이라며 "'부평미래비전 2020 위원회'등 민관이 함께하는 거버넌스 기구 등을 통해 구민을 행복하게 하는 정책을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