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0501000392800016192

7772.jpg




요즘 이런저런 매체를 통해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의미인 워라밸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된다.

워라밸은 일하는 여성들의 일과 가정의 양립에 한정되어 사용되다가 노동관의 변화와 라이프스타일의 다양화를 배경으로 모든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워크 라이프 밸런스라는 개념으로 바뀌었다.

쉽게 말해 사생활을 중시하고 삶의 보람에 더 큰 가치를 두는 현대인의 경향을 말한다.

2018100501000392800016191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스포츠동호회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중 축구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는 대표적인 종목 중 하나다.

한국 사회에서는 '주 52시간 근무'가 시행된 후 저녁이 있는 삶을 위해 여가생활을 중시하는 워라밸의 흐름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워라밸의 특징은 여가 시간의 활용범위를 단순 독서나 음악 감상 등의 획일화된 활동보다 '나에 의한, 나를 위한' 여가 활동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이다.

개인 삶의 중요성과 가치의 추구가 사회적인 현상으로 부각되면서 저녁에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 '나포츠족'도 급속도로 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나포츠족으로 활동할 수는 없다.

무조건 마라톤을 한다고 모두 건강에 좋은 건 아니다.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은 마라톤과 같은 무릎과 허리에 무리를 주는 운동 보다는 자전거와 같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운동이 좋을 수 있다.

이처럼 자신에게 필요한 운동은 무엇이고, 또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자신에 필요한 운동 잘 모르거나
경제적 이유 생활화 어려움 겪어
국민 80% "국가가 관리 서비스를"


또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운동을 생활화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 퍼스널트레이너와 함께 하거나 그룹 운동 등은 적지 않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런 여러가지 이유로 고민에 빠진 사람들을 위해 공공스포츠, 즉 스포츠를 복지 차원에서 접근하기도 한다.

복지는 더 이상 단순히 먹고 사는 문제가 아니다. 건강과 삶의 질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스포츠'와 직결돼있다.

2018100501000392800016193
국내에서 가장 많은 팬층을 보유하고 있는 야구는 보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동호회 리그가 결성돼 즐기는 스포츠로 자리잡았다. /강승호기자 kangsh@kyeongin.com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생활체육활동참여실태조사'를 보면 생활체육참여율(주 1회 이상 기준)은 지난 1989년 38.9%에서 지난해 59.2%로 상승했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의 국민체력실태조사에 따르면 체력 저하 및 비만 관련 지표 증가로 국가가 국민의 체력관리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체력을 관리하는 국민은 4.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가가 체력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0%에 달했고 참여 의향을 표시한 사람은 68.5%였다.

untitled-8.jpg
소외계층에 관심의 손길 못 미쳐
일·건강 양립, 연구·제도개선 필요

 

하지만 생활체육참여자 대부분은 일반 성인이다.

무한 경쟁 사회를 거치며 '워라밸' 개념을 체득하지 못한 노년과 중·장년층은 '쉼'이 주어지더라도 활용을 할 수 있는 방편을 찾지 못하고 TV 시청, 음주 등 여가생활이 아닌 활동으로 시간을 보내 일과 가정, 일과 건강의 양립을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사회·경제·문화적 여건이 어려운 사람들에겐 스포츠 복지 관심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회적 여건이 부족한 노인, 장애인, 경제적 여건이 부족한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문화적 여건이 부족한 외국인근로자, 다문화가정, 새터민이 사각지대에 놓인 집단이다.

 

KakaoTalk_20181001_194531220
스킴보드를 즐기고 있는 얼라이브 스킴 김재형씨. /얼라이브스킴 제공

각종 성인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의 수단으로 생활체육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참여율이 증가했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지역 체육계 관계자는 "이제 스포츠는 올림픽, 아시안게임과 같은 국제대회에서 국위 선양을 위해 육성하는 트렌드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는 생활스포츠로 변화가 필요하다"며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의료복지 만큼 스포츠복지에 대한 접근도 필요하다. 또 스포츠복지가 한국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연구와 제도 개선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종화·강승호기자 jhkim@kyeongin.com 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아이클릭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