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1701001291800061281.jpg
수원시는 17일 시청 상황실에서 '한글본 '정리의궤' 복제본 제작 완료보고회'을 열고, 한글본 '정리의궤' 13책을 공개했다. 사진은 공개된 정리의 궤 복제본./수원시 제공

수원시는 17일 시청 상황실에서 '한글본 '정리의궤' 복제본 제작 완료보고회'을 열고, 한글본 '정리의궤' 13책을 공개했다.

시가 복제한 한글본 '정리의궤(整理儀軌)' 13책은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소장한 채색본 1책과 프랑스 국립동양어대학 언어문명도서관이 소장한 12책이다.

2016년 7월 경인일보 보도를 통해 한글본 '정리의궤' 13책이 세상에 알려진 후 활용방안을 모색한 시는 2년 3개월 만에 '국내 최초로 복제본 제작'이라는 결실을 거뒀다.

2018101701001291800061282.jpg
염태영 수원시장(오른쪽 두 번째)과 안민석 국회의원(왼쪽 두 번째)이 한글본 '정리의궤' 복제본을 들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수원시 제공

정조시대 연구와 수원화성 복원 기초자료로 한글본 '정리의궤'가 꼭 필요했던 시는 언론보도 직후 '정리의궤 활용 기본계획안'을 세우고 자료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2017년 2월 시의 실무진과 전문가가 프랑스를 방문해 한글본 '정리의궤' 복제본을 제작을 협의했다. 이후 1년여 동안 프랑스 국립도서관·국립동양어대학 관계자와 수십차례 전자우편을 주고받으며 세부 사항을 조율했다.

복제는 한글본 '정리의궤' 조사·분석, 촬영, 이미지 보정·편집, 재료 제작, 인쇄, 표지 제작·장정(裝幀) 등 과정으로 이뤄졌다.

시의 실무진과 전문가들은 지난 5월 다시 한번 프랑스 국립도서관과 국립동양어대학 언어문명도서관을 방문해 사진 촬영, 색 감수, 실측 등 작업을 했다. 6월에는 역사·서지학·종이·염료·장황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 자문회의를 열어 의견을 들었다.

이어 이미지 작업, 채색본 작업, 재료(한지·전통 먹·능화판) 제작 작업을 거쳐 복제본을 완성했다. 복제는 현대 기술을 활용하면서 전통기법을 최대한 구현하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채색본 모사(模寫)는 모사 작가 정두희(문화재 수리기능자 모사공) 영남대 교수가 담당했고, 한지는 한지 장인이 직접 떴다. 표지는 무형문화재 이운천 선생이 능화판(菱花板)을 제작해 전통기법으로 염색했고, 책을 묶는 끈, 포갑(책을 싸는 상자)도 전통기법으로 제작했다.

2018101701001291800061283.jpg
염태영수원시장(오른쪽 끝), 이한규 제1부시장(왼쪽 끝), 안민석 국회의원이 관계자들과 함께 한글본 「정리의궤」 복제본을 살펴보고 있다./수원시 제공

염태영 수원시장은 "복제를 위해 한글본 '정리의궤'를 소장한 프랑스 기관을 설득하고, 촬영·실측을 위해 프랑스를 오가는 과정이 쉽지 않았다"며 "지난 2년 3개월 동안 수많은 전문가, 시민, 기관이 노력하고 헌신한 덕분에 오늘 이 자리에 한글본 '정리의궤' 복제본이 있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글본 '정리의궤(원이름은 '뎡니의궤')'는 '현륭원 의궤', '원행을묘정리의궤', '화성성역의궤' 등을 한글로 종합 정리한 의궤로 국내에는 없는 판본(板本)이다. 현존 한글의궤 중 가장 이른 연대의 의궤로 추정된다. 총 48책 중 13책만 현존한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