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10701000435200019301.jpg
영등포 밀가루공장, 문화공장으로 재탄생 .서울시는 1만8천963㎡ 규모 대지에 건물 23개 동이 들어선 문래동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을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드는 도시재생 구상안을 6일 발표했다.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은 1930년대 당시 원형을 온전히 유지하고 있는 서울에 몇 안 남은 산업유산이다. /연합뉴스=서울시 제공

서울지하철 1호선 영등포 역에서 문래동 방향으로 걷다보면 쇼핑몰 타임스퀘어를 마주한 거대 원통현 건축물이 있다. 일제강점기였던 1936년 문을 열고 82년간 영등포역 인근을 지킨 밀가루 공장 '대선제분'의 곡물 저장창고다. 

공장 시설이 2013년 충남 아산으로 이전되고 멈춰있던 이곳에 전시·공연장, 식당·카페 등이 들어서 '문화공장'으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1만8천963㎡ 규모 대지에 건물 23개 동이 들어선 문래동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을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드는 도시재생 구상안을 6일 발표했다.

과거 영등포는 다양한 공장이 자리 잡은 제조산업 거점이었다. 영등포의 산업 중 경성방적이 '의(衣)'를, 대선제분은 '식(食)'을 대표하는 수준이었던 셈.

그러나 지금은 경성방직, 종연방직 등 의산업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공장이 이전한 빈터를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타임스퀘어 등 쇼핑몰이 채우는 사이 밀가루 공장만은 자리를 지켰다. 

2018110701000435200019302.jpg
영등포 밀가루공장, 82년만에 '문화공장'으로 재탄생. 서울시는 1만8천963㎡ 규모 대지에 건물 23개 동이 들어선 문래동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을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드는 도시재생 구상안을 6일 발표했다. 사진은 1962년 대선제분 공장의 모습. /연합뉴스=서울시 제공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은 1930년대 당시 원형을 온전히 유지하고 있는 서울에 몇 안 남은 산업유산이 됐다. 이런 대선제분 공장이 상징적 시설물인 원통형 사일로(곡물 저장창고), 대형창고 등 기존 건물을 최대한 유지·활용하되 다양한 콘텐츠를 접목하는 방식으로 리모델링·증축된다.

1단계로 전체 23개 동 중 14개 동을 카페, 레스토랑, 상점, 역사박물관 등으로 만든다. 1936년 건축된 정미공장은 기획 전시장으로, 창고는 창업지원 공간과 공유오피스로 활용된다. 사무동은 제분 산업을 중심으로 서울 근현대산업 역사를 기록하는 전시관으로 쓴다. 대형창고 건물에는 레스토랑과 갤러리 카페가 들어선다.

광장에선 지역주민들을 위한 문화행사와 문래동 예술인·기술 장인이 참여하는 플리마켓, 공연을 열어 문화 인프라를 만들 계획이다.

대선제분 영등포공장 재생사업은 서울시의 1호 '민간주도형' 재생사업이다. 석유비축 기지를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마포 '문화비축기지', 오래된 고가 차로를 보행 공원으로 만든 '서울로 7017' 등 서울의 대표 도시재생 사업은 지금까지 민(民)보다는 관(官)인 서울시가 주도했다.

이번 사업은 대선제분 창업주의 손자인 박상정 대표가 운영하는 '아르고스'가 사업비 전액을 부담해 재생계획 수립부터 리모델링, 준공 후 운영 전반을 주도한다.

서울시는 공공성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도시재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보행·가로환경 등 주변 인프라를 정비한다. 시민들이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과 2호선 문래역을 통해 대선제분 공장으로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gyh2018110600070004400_(1)_copy.jpg
영등포 '터줏대감' 밀가루공장, 문화공간으로 재탄생. 일제강점기였던 1936년 문을 연 뒤 82년간 서울 영등포역 인근을 지킨 밀가루 공장이 '문화공장'으로 재탄생한다. /연합뉴스

박상정 대표는 "런던 테이트모던, 뉴욕 첼시마켓 등 (공장을 문화시설로 탈바꿈한) 해외 여러 사례를 연구한 결과 벤치마킹을 하지 않겠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기존 건물의 기능과 토지 형태, 역사는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를 담아내기 위한 새로운 틀과 공간의 재해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재생'보다는 기존에 존재하는 것을 다른 관점에서 가치 있게 해석하는 '리디스커버리(rediscovery)'라는 말을 쓰고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삭막해져 가는 도심에서 삶에 대한 호기심을 잃지 않도록 돕는 공간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2016년부터 아르고스와 멈춰선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의 활용 방안을 협의해왔다. 그간 '2016F/W 서울패션위크'와 신차 발표회 등을 대선제분 공장에서 열며 폐공장의 가능성을 모색한 끝에 2년여 만에 복합문화공간을 만들겠다는 결론을 도출해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이 산업화 유산의 원형을 살리고 문화의 가치를 덧입힌 서울시의 또 다른 도시재생 아이콘이자 문화 플랫폼이 되고, 더 나아가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소중한 공간을 토지주가 스스로 보전하고 재생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은 매우 뜻깊고 의미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공장 재생을 위한 1단계 공사는 다음 달 착공해 2019년 하반기 완료된다. 사일로 등 대규모 구조물을 활용하는 2단계 재생사업 계획은 현재 아르고스와 서울시가 수립 중이다.

아르고스 측은 2단계 사업의 착공 시점은 지금으로부터 5∼6년 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지혜기자 keemjy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