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펴낸 시집 '해자네 점집'으로 지난달 제33회 만해문학상 본상에, 이달에는 제10회 구상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 달여 사이에 권위도 있고 상금도 두둑한 상을 두 개나 받았다.
지난해에는 아름다운 작가상을 2016년에는 이육사시문학상을 받았고, 2008년 백석문학상, 1998년 전태일문학상 등을 받았다. 지난 9일 오전 인천 부평 백운공원 인근에서 김 시인을 만났다.
그는 충남 천안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는데, 전날 노동자교육기관에서 진행하는 글쓰기 수업 때문에 잠시 인천에 들렀다고 한다.
수상 축하 인사를 전하니 그는 전라도 사투리가 섞인 말투로 "이제는 호(號)를 수상자로 바꾸라는 친구들도 있네요"라고 말하고는 크게 웃었다.
상과 인연이 잦은 이유를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심각한 표정으로 한참을 고민하더니 "사주를 면밀하게 분석해 보니 이맘 때가 횡재할 시기"라며 "지난 8월 꿈에 108 염주를 한 스님을 만나는 꿈을 꿨는데, 염주와 열매 선물을 받았던 것도 이유였던 것 같다"고 말하고 또 웃었다.
웃으며 답하긴 했지만, 상 받는 일이 조금은 불편한 구석도 있다고 한다.
"사실 시(詩) 라는 것이 큰 차이가 나지 않거든요. 누구에게는 제 시가 마음에 들지 않을 것이고요. 사람이니까. 불편한 마음 대신 이번 상들을 앞으로의 '독립자금'이라고 생각하며 살려고 합니다."
김해자 시인을 '노동자 시인'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자신을 활동가라고 소개했다.
시를 심사한 한 심사위원은 심사평에서 자신을 시인이 아닌 '활동가'라고 표현 하기도 했단다. 그는 "어라, 내가 시인이 아니었네" 하며 웃은 기억도 있다고 했다.
그는 1984년부터 1999년까지 15년의 시간을 인천에 머물렀다.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를 다닌 항구 목포보다 더 많은 15년이란 세월, 그의 가장 빛나는 젊은 시절을 인천의 모든 동네를 떠돌아다니며 살았다고 했다.
그의 작품 가운데 정말 많은 것들의 뿌리가 인천에 있다고 그는 말했다.
시인은 그 시인은 시로 소개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다는 그는, 자신의 행적이 압축되어 있다는 시 '어진내에 두고 온 나'(시집 집에 가자, 삶창, 2015)를 추천해 줬다.
"지금도 청천동 콘크리트 건물 밖에는 플러그 뽑힌 채 장대비에 젖고 있는 도요타 미파 브라더 싱가 미싱들이 서 있죠…(중략)…아득하고 고운 옛날 어진내라 불리던 인천, 갈산동 그 쪽방에는 연탄보다 번개탄을 더 많이 사는 소녀가 살고 있네요 야근 마치고 돌아오면 늘 먼저 잠들어 있는 연탄불 활활 타오르기 전 곯아떨어지는 등 굽은 한뎃잠…(중략)…교도소가 마주 보이던 학익동 모퉁이 키 낮은 집 흙벽 아궁이가 있던 옛 부엌엔 전단지 속 휘갈긴 어린 해고자 메모 '배가 고파요 이렇게 살고 싶지 않았어요' 애호박 몇 조각 둥둥 떠다니는 밀가루 죽이 아직도 부글부글 끓고 있는 효성동 송현동 송림동 바람 몰아치던 주안 언덕배기 그 작고 낮은 닭장집 창문마다 한밤중이면 하나둘 새어 나오는 쓸쓸하고 낮고 따스한 불빛…(후략)"
그는 오갈 곳 없는 힘든 시기에 인천에 왔다.
고려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1984년 학내에서 '광주학살진상조사위원장'을 맡았다. 4월부터 6월까지 두 달 내내 시위를 주도했다.
얼굴은 새카맣게 변했고 체중은 38㎏까지 줄었을 정도로 힘겨웠다. 학교에서 제적됐고, 이후 벌어진 학생들 사이의 노선 투쟁으로 큰 상처를 입었다.
마땅히 기댈 곳이 없어서 찾아온 곳이 인천이었다. 그해 10월 효성동에 보증금 20만원, 월세 4만원짜리 '닭장집'으로 첫 인연을 맺었다.
맘씨 좋은 사장은 "시다일 조금만 버티면 미싱사로 올려 줄게"라며 다독였고, 성질 못된 사장을 만날 때는 "하나도 안 해 봤구먼!"하는 호통을 들었다.
2개월여 만에 7~8곳을 전전했다. 미싱 기술이 늘면서 큰 사업장으로 옮기게 됐고 백경물산, 소명실업, 태평양물산 등에서 일했다.
그는 지금도 그 마찌꼬바에서 만났던 얼굴을 다 기억에 남았다고 한다. 그 노동자들이 보여줬던 삶, 때로는 거칠고 일당이 밀리면 시끄럽기도 하던 그들.
그들과 나눠 먹었던 밥. 휴식 시간에 씨름하고 춤추고, 일을 끝마치고 곱창집에서 술을 마시고 그랬던 청춘들이다.
"가끔 공동수돗가에서 만나면 사알짝 웃기도 했는데, 마당 끝에 있는 변소 앞에 줄 서 있기라도 하면/출근길 그 남자 미안한 듯 고개 숙이고 지나갔는데, 어느 차가운 밤 골목 입구에서, 고구마 냄새나는 따뜻한 비닐 봉다리 안겨주고 도망가기도 했는데, 충청도 어디 바닷가에서 왔다던가 사출공장 다닌다던가(후략)"('벽 너머 남자', 해자네 점집, 2018)
그의 시는 관념적이지 않고 쉽다는 평을 듣는다고 한다.
그는 돌이켜보면 자신의 머리가 아닌 몸이 그런 청춘들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고 했다.
"한편으로는 인천에서 보낸 15년은 잿빛 같아요. 나는 빠져나오고 싶은데, 나는 그 자리에 있는 것 같은, 인천이 늘 저에겐 그래요. 너무 괴로운 일도 많았고, 죽음도 많았고요. 그러니까 내가 (시를) 쓸 때는 그 많은 것을 모아요. 시 속에 수많은 리얼리티가 들어가 있는 거예요. 그걸 1,2,3,4 쓰기는 괴로우니까요."
그의 시에는 인천이라는 공간에서 그가 만난 '시로 쓰일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한다.
"한 집 건너 지하공장/미싱 소리 드르륵대던 곳/사철 시꺼먼 하늘만 내려앉던 청천동/십자약국 골목 파란 대문/빨간 닭장집 안 녹색 부엌문/방문 벽에 걸린 푸른 작업복/왼편에 하얀 명찰 생산2과 김정례/앉은뱅이책상 앞에 「해고무효소송 승소판결문」/옆에 방송통신고등학교 교재, 안에 쓰다만 편지/"공부 열심히 해. 돈 걱정 말고 누나만 믿어라"/방문턱에 걸린 두 발/부엌 바닥에 늘어뜨린 긴 머리칼/아궁이에 타다 만 연탄/잠긴 문 바라보다 멈춘/반쯤 열린 눈/밖에 하얀 눈"(축제,예지, 2007)
"아픈 현실의 땅에서 발을 떼지 않고, 땅속 벌레처럼 몸으로 길을 뚫는 그 미물의 눈을 잃지 않는 것, 그리고 글로 부당함을 고발하고 삶의 켜켜이 말할 수 없는 아프고 억울한 자들의 삶을 받아적고 그들의 삶을 존엄한 자리에 올려놓는 일 그것이야말로 제가 뒤늦게 받은 분에 넘치는 공감과 약간의 찬사 그리고 주어진 '상'에 보답하는 길인 듯합니다. 유용과 필요가 넘쳐나는 이 행성에서 무능하고 무용하기까지 한 '시'라는 바늘과 '민중의 서사'라는 실을 가지고 이 세계를 기꺼이 그리고 아름답게 기워나가는 사람으로 남고 싶습니다."
글/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 사진/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김해자 시인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조립공, 미싱사, 학원 강사 등을 하며 노동자들과 시를 쓰다가 1998년 《내일을 여는 작가》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무화과는 없다』(2001), 『축제』(2007), 『집에 가자』(2015), 『해자네 점집』(2018)을 펴냈다. 민중구술집 『당신을 사랑합니다』(2012), 산문집으로 『내가 만난 사람은 모두 다 이상했다』(2013), 시평 에세이 『시의 눈, 벌레의 눈』(2017) 등이 있다.
전태일문학상(1998), 백석문학상(2008), 이육사시문학상(2016), 아름다운작가상(2017) 만해문학상(2018) 구상문학상(2018) 등을 받았다.
시골에서 농사 조금 지으며 이웃의 이야기를 받아적으며, 노동자 치매병동 알코올병동 홈리스 기초수급자 등 부르는 데마다 찾아가 강연과 강의를 하며 살고 있다. 한국작가회의 부이사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