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40년 전에 한반도 긴장 완화를 목적으로 남북미 3자 회담을 극비리에 추진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3자 고위급회담 장소까지 정해지는 등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세워졌으며, 당시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은 대선 공약이었던 주한미군 철수까지 함께 추진한 것으로 밝혀졌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이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 제임스 퍼슨 연구원으로부터 입수한 미국 외교 기밀문서를 통해 확인됐다. 퍼슨 연구원은 현재 주미특파원 출신 언론인 협회인 한미클럽의 의뢰를 받아 미국 외교문서 발굴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고 있는 한반도 전문가다.
기밀문서에 따르면 당시 카터 미국 대통령은 1979년 6월 말 방한해 박정희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가졌으며, 이 시기를 전후해 남북미 3자 고위급 회담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진행하는 것을 추진했다.
카터 대통령은 1979년 6월에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인도네시아가 남북미 고위급 회담 장소를 제공하기로 결정해 준 데 대해 사의를 표하기도 했다.
당시 주한 미국대사관에서 주인도네시아 미국대사관으로 보낸 비밀 외교전문에 따르면 카터 대통령은 "당신의 정치력 있는 태도 덕분에 아시아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과정을 시작할 수 있게 됐다"며 "나는 남북미 간의 만남과, 인도네시아가 그 과정에 참여하는 것에 대단히 큰 중요성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달인 1979년 7월 작성된 또 다른 비밀 외교전문에서는 미국 정부거 남북미 3자 고위급 회담을 자카르타에서 개최하자는 제안을 인도네시아를 통해 북한에 전달한 내용이 포함됐다.
이 문서에서 미 정부는 자카르타를 회담 장소로 택한 이유와 관련, "자카르타는 3자의 공식 외교 대표부를 모두 두고 있어 3자 대화에 참석하는 대표단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카터 대통령은 이 같은 남북미 3자 대화를 1977년 취임 첫해부터 비밀리에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기밀문서에 따르면 카터 대통령의 외교 책사였던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사이러스 밴스 국무장관에게 보낸 메모에서 카터 대통령이 남북미 3자 대화를 추진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1977년 8월 5일 '남북 간의 대화'라는 주제로 작성된 이 메모에서 브레진스키 보좌관은 "대통령은 북한, 남한, 미국 간 3자 대화 가능성에 관한 당신의 보고서를 읽었으며, 단계대로 실행해 나가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카터 정부는 아울러 카터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주한미군 철수 문제와 남북미 3자 대화 추진을 연계하려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브레진스키 보좌관은 "미국은 남북대화 재개를 희망하고 있고, 4자 또는 3자 대화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북한에 재차 확인시켜야 한다"며 "군 철수 계획이 남북대화 촉진에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해야 한다"고 적었다.
이 같은 주한미군 철수 문제는 카터 대통령과 박 대통령이 1979년 6월 30일 청와대에서 진행한 단독 정상회담에서도 의제에 올랐으며, 이 문제를 놓고 양국 정상이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카터 대통령은 주한미군 철수 공약을 어떤 식으로든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내세웠지만, 박정희 대통령은 북한이 군사적 우위를 보이는 상황에서 주한미군의 핵심전력을 섣불리 빼서는 안된다면서 강력하게 반대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한편, 카터 행정부의 이 같은 남북미 3자 대화 추진은 북한 측이 호응하지 않으면서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뉴스부
3자 고위급회담 장소까지 정해지는 등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세워졌으며, 당시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은 대선 공약이었던 주한미군 철수까지 함께 추진한 것으로 밝혀졌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이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 제임스 퍼슨 연구원으로부터 입수한 미국 외교 기밀문서를 통해 확인됐다. 퍼슨 연구원은 현재 주미특파원 출신 언론인 협회인 한미클럽의 의뢰를 받아 미국 외교문서 발굴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고 있는 한반도 전문가다.
기밀문서에 따르면 당시 카터 미국 대통령은 1979년 6월 말 방한해 박정희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가졌으며, 이 시기를 전후해 남북미 3자 고위급 회담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진행하는 것을 추진했다.
카터 대통령은 1979년 6월에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인도네시아가 남북미 고위급 회담 장소를 제공하기로 결정해 준 데 대해 사의를 표하기도 했다.
당시 주한 미국대사관에서 주인도네시아 미국대사관으로 보낸 비밀 외교전문에 따르면 카터 대통령은 "당신의 정치력 있는 태도 덕분에 아시아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과정을 시작할 수 있게 됐다"며 "나는 남북미 간의 만남과, 인도네시아가 그 과정에 참여하는 것에 대단히 큰 중요성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달인 1979년 7월 작성된 또 다른 비밀 외교전문에서는 미국 정부거 남북미 3자 고위급 회담을 자카르타에서 개최하자는 제안을 인도네시아를 통해 북한에 전달한 내용이 포함됐다.
이 문서에서 미 정부는 자카르타를 회담 장소로 택한 이유와 관련, "자카르타는 3자의 공식 외교 대표부를 모두 두고 있어 3자 대화에 참석하는 대표단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카터 대통령은 이 같은 남북미 3자 대화를 1977년 취임 첫해부터 비밀리에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기밀문서에 따르면 카터 대통령의 외교 책사였던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사이러스 밴스 국무장관에게 보낸 메모에서 카터 대통령이 남북미 3자 대화를 추진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1977년 8월 5일 '남북 간의 대화'라는 주제로 작성된 이 메모에서 브레진스키 보좌관은 "대통령은 북한, 남한, 미국 간 3자 대화 가능성에 관한 당신의 보고서를 읽었으며, 단계대로 실행해 나가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카터 정부는 아울러 카터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주한미군 철수 문제와 남북미 3자 대화 추진을 연계하려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브레진스키 보좌관은 "미국은 남북대화 재개를 희망하고 있고, 4자 또는 3자 대화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북한에 재차 확인시켜야 한다"며 "군 철수 계획이 남북대화 촉진에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해야 한다"고 적었다.
이 같은 주한미군 철수 문제는 카터 대통령과 박 대통령이 1979년 6월 30일 청와대에서 진행한 단독 정상회담에서도 의제에 올랐으며, 이 문제를 놓고 양국 정상이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카터 대통령은 주한미군 철수 공약을 어떤 식으로든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내세웠지만, 박정희 대통령은 북한이 군사적 우위를 보이는 상황에서 주한미군의 핵심전력을 섣불리 빼서는 안된다면서 강력하게 반대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한편, 카터 행정부의 이 같은 남북미 3자 대화 추진은 북한 측이 호응하지 않으면서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