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영 도 평화부지사다. 민선 7기가 시작된지 이제 4개월여. 짧은 기간 여러 국면에서 그는 이슈의 중심에 섰다.
이 지사가 취임 후 자신의 파트너로 일할 인사를 처음 지명했을 때, '탈당론'까지 대두될 정도로 당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에 봉착했던 이 지사가 이해찬 당 대표 체제에 돌입하며 전화위복의 기회를 맞았을 때, 4·27 남북정상회담으로 북한과의 교류 협력에 대한 물꼬가 다시금 트였을 때 번번이 그가 조명됐다.
남북 문제에 정통한, '이재명의 파트너'가 된 '이해찬의 측근'. 그를 가리킬 수 있는 수식어는 이것 뿐일까.
지난 26일 오후 이 부지사를 도청 집무실에서 만났다. 지방정부에서 주최한 행사에 처음으로 북측 인사들이 찾아 이목을 집중시켰던 아시아태평양 평화·번영을 위한 국제대회가 끝난지 막 열흘이 지난 시점이었다.
이 지사에게 각종 악재가 집중돼 도 안팎이 혼란스러웠던 때이기도 했다. 30분 남짓 길지 않은 인터뷰를 통해 여러 질문을 던졌다. 그 역시 속도감 있게 막힘 없이 답했다.
# 노동 운동 매진하던 청년, 남북 평화 선두에 서다
민주화의 열기가 뜨거웠던 80년대, 성균관대에서 학생운동을 하던 그에게 1988년은 생의 전환점이 됐다. 당시 국회에 노동위원회가 설치됐는데 보좌진으로 일하게 된 것이다.
당시 노동위에는 노무현·이해찬·이상수 의원이 있었다.
훗날 대통령으로, 국무총리로, 노동부 장관으로 일했던 이들 틈새에서 20대 청년은 노동관계법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조금이라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일을 맡았다.
정치적 행보를 함께해 온 이해찬 대표와도 이때 연이 닿았다.
"당시 노무현 의원실에선 이호철 전 수석, 이해찬 의원실에선 유시민 전 장관, 이상수 의원실에선 제가 역할을 나눠서 공동 보좌진처럼 일을 했다"고 회고한 그는 2004년 서울중랑갑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남북 문제에 관심을 두게 된 것도 이 무렵부터다.
여의도 정치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게 되면서 그는 스스로의 역할을 고민했다.
"대한민국의 여러 정치·사회적 현안은 보수 대 진보 구도에서 빚어지는데 그 가운데 분단으로 벌어진 모순이 끼어있는 게 본질적 문제라고 봤다. 결국 우리나라가 더 좋은 나라가 되려면 남과 북이 서로 화해, 협력해서 최소한 왕래는 할 수 있을 정도가 돼야만 이런 문제들도 해소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한 그는 국회의원 당선 후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서 활동했다.
북한 땅도 이때 처음 밟았다. 2005년 남북청년정당인 대회를 통해서였다.
여야의 젊은 정치인들이 북측의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소속 청년 정치인들을 만났다. 당시 남측대표단 수석단장을 이 부지사가 맡았었다.
그가 지금 남북 평화 협력의 선두에 서게 된 것도 이 때의 만남이 단초가 된 것이다.
특히 2006년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했을 당시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요청으로 단독으로 방북, 노 전 대통령의 메시지를 북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듬해인 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되는 마중물 역할을 했다.
당시 북측 인사들과의 교류는 10년이 지난 현재 새로운 남북관계를 만드는 밑거름이 됐다.
# 이해찬의 측근, 이재명의 파트너
그에게 이해찬 당 대표의 측근인지 물었다. 잠시 생각하던 그는 "측근이라는 표현도 맞을 것"이라고 답했다.
"1988년에 처음 뵙고 30년 동안 어려운 시기, 이 대표가 국회의원을 하지 않았던 원외 시절에도 함께 일했으니까. 말하자면 '보좌'진, 측근이라면 측근일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이재명 지사의 당내 입지가 이해찬 대표 체제 들어 한결 안정된 데 그의 역할이 있었다는 세간의 시선에는 선을 그었다.
이 부지사는 "그건 아주 우연"이라며 "오히려 제가 선거기간 이 지사 캠프에서 일을 도왔을 때는 이해찬 대표가 당 대표를 하게 되리라곤 생각을 못했었을 때다. 이 대표 역시 제가 캠프에서 일을 도왔던 것을 몰랐다. 이 대표가 저를 이재명 지사 쪽에 보냈다. 이런건 정말 아니다. 결과론적 해석"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지사와는 과거 노동·사회운동으로 간접적인 연을 맺었다.
"저도 성남에서 활동한 적이 있다. 사회운동할 때부터 알고 지내던 인권변호사였다. 정치적 행보를 함께 했던 건 아니지만 지난해 대선 경선에 도전했을 때 남북협력 분야에서 조언을 해드린 적이 있다"고 이 지사와의 연을 설명한 그는 "판단이 신속, 정확하고 명쾌한 분"이라고 이 지사를 평가했다.
그러면서 "저는 국회의원을 했고 오랫동안 정당 생활을 했다보니 소위 '여의도 정치'에 네트워크가 있다고 한다면 이 지사는 지역 운동, 행정에 주력했고 여의도에는 거의 오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제가 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것 같다"며 "이 지사가 남북 교류협력 방안에 대해 전폭적으로 지지해줘서 편하게 일하고 있다"고 했다.
# 경기도 남북교류협력 '희망'
그가 주도한 아시아태평양 평화·번영을 위한 국제대회는 지난 7월 민선 7기 경기도가 시작된 이래 가장 큰 이벤트였다.
이를 진두지휘했던 이 부지사는 "북측 대표단이 방남한 것 자체가 큰 성과"라고 평했다.
"한편에선 아태 지역에서 일본 식민 지배를 받았던 지역들이 진정한 사과를 받아내고 배상을 받아내자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는 게 매우 큰 의미가 있었다"고 설명한 그는 "내년에는 평양에서, 그 이후에는 동남아시아 다른 국가에서 대회를 개최하려고 한다.
DMZ 평화포럼도 준비 중인데 한국의 다보스포럼 같은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은 부분 정부의 통제 속 엇박자를 냈던 점은 아쉬운 점으로 꼽았다.
이 부지사는 "북측 인사들과는 '남한에 가면 치맥을 실컷 하자'는 얘기까지 서슴없이 나왔었다. 그런데 아무래도 과잉 통제가 이뤄지다 보니까, 그럴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었다. 불가피한 측면이 있겠지만 새로운 시대에 맞춰서 개선할 부분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고 말했다.
북측과 협력을 약속한 부분을 착실히 준비해 성과를 내는 게 그의 내년 목표다. 남북교류 협력 방안을 묻자 그의 표정이 한층 밝아졌다.
"세계인이 주목하는 DMZ 평화공원을 조성하고 관광·문화·생태 콘텐츠도 그 안에 담을 수 있을 것이다. 철도 연결도 합의가 됐는데 아주 큰 의미를 갖는다.
황해도 시범농장 사업 등도 우리 기업 진출에 유리한 교두보가 될 것이고, 한강하구 공동조사도 내년 4월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31개 시·군과 함께 하겠다는 점도 덧붙였다.
인터뷰 말미 그는 '희망'을 말했다.
"사실 전에 북에 다녀와서 발표했을 때도 많은 분들이 '설마'라고 했습니다. 최악에는 안 될 수도 있지만 희망을 가지면 일이 됩니다. 한 번에 다 완성하려고 하기 전에, 작은 규모라도 뭔가 먼저 시작해보는 게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그의 '희망'에는 남과 북이 자유롭게 왕래하고 기차로 서울에서 베를린을 가는, 평화로운 대한민국이 있다.
글/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사진/김종택기자 jongtaek@kyeongin.com
■이화영 평화부지사는?
▲1963년 강원 동해 출생
▲성균관대 사회학과 졸업
▲17대 국회의원(열린우리당/서울중랑갑)
▲열린우리당 원내부대표(전략 담당)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간사
▲민주당 남북교류협력특별위원장, 동북아평화위원장
▲19대 대선 문재인 대통령 선거대책위 국정자문단 공동단장, 동북아평화경제위 공동위원장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 이사장, 동북아평화연대 기획위원
▲지방자치실무연구소(소장·노무현) 연구위원
▲한국방정환재단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