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0201000053700002991.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가운데)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 맨 앞)이 1일(현지시간) G20 정상회의가 진행중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갖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AP=연합뉴스

갈수록 악화되던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일단 숨을 돌리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얼굴을 맞대고 담판을 벌인 결과, 향후 90일 동안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부터 미국이 2천억 달러어치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하려던 계획이 일단 보류됐다. 

미국과 중국은 이 같이 '일단 휴전'에 들어간 후 전면적인 무역 협상을 재개한다는 계획이다. 미국과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큰 우리나라로서는 양국간 무역 분쟁으로 후폭풍에 휘말릴 우려가 줄어든 셈이다.

세라 샌더스 미 백악관 대변인은 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업무 만찬을 진행한 후 별도 성명을 통해 미국은 향후 90일 동안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내년 1월 2천억 달러어치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하려던 계획도 보류됐으며, 대신 양측은 이 기간에 중국의 불공정한 정책을 바로잡기로 했다고 밝혔다.

샌더스 대변인은 "미·중은 앞으로 90일 동안 강제적인 기술 이전, 지식재산권 보호, 비관세장벽, 사이버 침입·절도 등 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변화를 위한 협상을 즉각 개시하기로 합의하고, 양측은 이 기간 이내에 협상을 완료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며 "그러나 만약 이 기간 내 합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10%의 관세는 25%로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왕이(王毅)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도 미중 양국 정상이 추가관세 부과를 중단하기로 한 사실을 확인했다.

왕이 국무위원은 이날 미중 정상회담을 가진 뒤 브리핑에서 "두 지도자는 새로운 관세 부과를 중단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시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이 "적절한 시기에 상호 방문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왕 국무위원은 미중 양국이 자국 시장을 상대방에 추가 개방하기로 했다면서 양국 정상들의 이번 회담에 대해 "긍정적이고 건설적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중요한 합의 덕분에 양국 간의 경제적 갈등이 더 악화하는 일을 막게 됐다. 또한 '윈윈' 협력을 위한 새로운 공간도 열렸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이 악화일로로 치닫던 무역전쟁에 제동을 걸고 일단 협상을 재개하게 되면서 우리나라 수출은 다시금 기대감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우리나라는 수출과 수입액을 기준으로 한 교역액에서 중국이 1위, 미국이 2위를 차지할 만큼 중국 및 미국 교역의존도가 크다. 양국간 무역 분쟁이 악화돼 상호 수출과 수입이 크게 감소할 경우, 중간재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수출은 적지않은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