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점 이의중건축사3

#'인천서점' 구조가 참 독특한데

사하라인들의 전통 주거지 모티브
오롯이 책에 집중 안락한 흙집으로

#고쳐쓰는 '재생건축' 결심 계기는

유년 보낸 잠실동네 전면철거 상실감
성급히 없애고 또 지으면 기억 잃는 듯


2018120401000196300009274
인천 관련 책만을 모아 놓은 '인천 서점'이 인천시 중구 신포동 '인천아트플랫폼'에 둥지를 틀었다. 

 

천을 소재로 한, 인천 사람이 주인공인, 그야말로 '인천 책'의 집합소다. 

 

서점의 테마도 특별하지만 서점 안 구조가 참 독특하다. 도톰한 흙집이 유리 방 안에 떡하니 자리 잡은 모양새다. 

 

점 벽면이 유리로 돼 있는 터라 바깥에서 안이 훤히 들여다보이는데도, 마치 요새처럼 생긴 황토색 서가(書架) 안으로 쏙 들어가면 안락하기 그지없다. 


흙과 나무 냄새, 책 냄새가 무뎌질 때쯤이면 어느새 서점의 분위기와 책 속에 푹 빠져 있는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서점은 모로코의 아틀라스(Atlas) 지방에 사는 사하라인들의 전통 주거지 '아이트 벤 하두(Ait-Ben-Haddou)'의 크사르(Ksar·요새)를 모티브로 꾸며졌다. 아이트 벤 하두는 건조한 사막 위에 있는 주거지로, 마을 전체가 방어벽으로 둘러싸인 요새 도시다.

이곳을 설계한 건축가 이의중(39·사진) 건축재생공방 대표는 "서점의 4곳 벽면이 유리로 돼 있어 따가운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여름엔 사막처럼 더운데,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직사광선을 피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했다"고 했다. 

 

그는 또 "햇빛이 서가 사이로 난 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빛이 움직이는 것에 따라 시간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는 것도 이곳만의 특징"이라고 덧붙였다.

19 공사후
공사 후 얼음창고에서 카페 '빙고'로 다시 태어난 건물 내외부 모습. (왼쪽부터 공사전, 공사후) /이의중 건축재생공방 대표 제공

이 대표는 이어 "책이 인테리어 장식용으로 쓰이는 북 카페 같은 모습으로 만들고 싶지 않았다"며 "인천 서점이라는 특징을 살려 오롯이 서적과 콘텐츠에 집중해 안락한 흙집에서 책을 읽는 듯한 느낌을 주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흙벽 사이로 뻗은 서가는 작은 골목길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어느 곳으로 들어와도 한데 만날 수 있는 작은 마을 같기도 하다. 이의중 대표는 '인천 책'만을 위한 첫 서점인 만큼 인천을 닮은 서점을 만들고자 했다고 한다.

그는 "여러 사람들이 서가 골목 사이사이로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고 그러다가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 앉아서 독서 모임도 꾸릴 수 있도록 설계했다"며 "밖에서 보면 배타적인 것처럼 보여도 다양한 사람이 만나 섞여 사는 모습이 꼭 인천을 닮았다"고 말했다.

이의중 대표는 오래된 건축물에 '숨'과 '이야기'를 불어넣는 명실공히 '건축 재생 전문가'다.

오래된 건축물을 부수고 다시 짓는 것이 아니라, 오래된 건축물에 가치를 부여해 살만한 곳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에 지나간 역사, 사람들의 이야기를 덧대는 것은 덤이다. 

 

이의중 대표가 있는 아카이브 카페 '빙고(氷庫)'는 그의 건축철학이 담긴 첫 작품이다. 1920년에 지어진 얼음 창고를 리모델링해 1층은 카페, 2층은 건축공방 사무실로 꾸려 2015년 말 오픈했다. 

 

카페 빙고는 최근 국책연구기관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로부터 '건축자산 활용 우수 사례'로 꼽히기도 했다. 이밖에 1965년에 지어진 산업시대 쪽방형 여관을 개조해 만든 '인천여관X루비살롱', 1930년대 일본식 벽돌창고를 재생한 인천영상위원회 커뮤니티 공간 역시 그의 작품이다.

이 대표는 "근대 건축 양식은 아직 '이렇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 지나지 않았는데 애경사처럼 필요 없다고 없애고 새로운 건물을 짓는 건 성급한 판단일 수 있다"며 "빙고 카페 역시 최근 문을 닫고 다시 의미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지역의 작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가 이렇게 '고쳐 쓰는 건축'을 하겠다고 결심한 것은 유년 시절부터였다. 그는 서울 잠실에서 나고 자랐다. 그가 살던 잠실 주공 저층 아파트는 전면 철거되면서 한순간에 사라졌다. 

 

재건축이 되면서 부동산 가치가 10배 이상 올라 부모님 세대야 좋았을지 몰라도, 그에겐 큰 '상실감'을 느낀 순간이었다고 한다. 

 

이 대표는 "친구들과 유년시절을 보낸 놀이터, 떡볶이집, 마을 공동체 모두가 송두리째 사라져버려 마치 기억을 잃어버린 것만 같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안정적 직장 버리고 인천 온 이유

오래된 자산 많고 역사적 배경 풍부
군집 아닌 중·동구 퍼져 분포 매력적

#바람직한 '원도심 재생정책'이란

관주도 진행, 형식적 시민 소통 그쳐
기한없이 세대 이어가며 가치부여를


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이의중 대표는 '재생 건축'이라는 화두를 잡고 2004년 서울의 한 디자인 사무실에 입사했다. 

 

그러나 그는 건축물의 '비포(Before)'와 '애프터(After)'가 확실해야 했던 당시 분위기에 절망하고 결국 1년 만에 사무실을 나와 2006년 일본 유학길에 올랐다.

그는 일본 유학 시절 도시재생의 대표 도시인 오카야마 현 쿠라시키(Kurashiki)에서 일본의 재생공방들과 함께 일했다. 

 

도시 미관지구와 전통보전지구의 200~300년 된 건축물을 재생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대표는 "1천 년 이상 된 건축물이 모여있는 일본의 오래된 마을을 답사하며, 건축물이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고 쓰지 않는다면 '박제된 마을'에 그쳐 숨이 끊긴다는 것을 배웠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건축물은 잘 쓰는 게 잘 지키는 것"이라는 철학을 안고 2012년 한국으로 다시 돌아왔다.

16 공사후
공사 후 얼음창고에서 카페 '빙고'로 다시 태어난 건물 내외부 모습. (왼쪽부터 공사전, 공사후) /이의중 건축재생공방 대표 제공

2012년은 한국이 '도시재생'이라는 정책을 막 도입했을 시기였다. 

 

그 덕에 이 대표도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국토부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담당 연구원과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토부 도시재생 선도사업 담당 연구원으로 2년 남짓 일했다. 

 

하지만 당시 정부의 재생 정책은 여전히 재개발 쪽에 치중할 때였다. 

 

안정적인 직장을 박차고 나와 연구원 시절 답사했던 현장 중 가장 흥미로웠던 도시인 '인천'에 뿌리를 박기로 했다. 2015년 카페 '빙고'는 그렇게 다시 태어났다.

이 대표는 "인천은 오래된 건축 자산이 많고 역사적 이야기가 많은데도 가치가 저평가돼 있다"며 "다른 지역의 경우 오래된 건축물이 한데 군집해 있는 것에 반해 인천은 중·동구 지역으로 분포돼 있단 점도 매력적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재생건축을 하는 건축가로서 최근 인천시에서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원도심 도시재생' 정책에 대한 소신도 이야기했다.

이 대표는 "내항재개발, 개항창조도시 사업을 앞두고 최근 에코누리호를 타고 시민들과 내항을 둘러봤는데 물고기가 살만큼 물이 깨끗하다"며 "인천 시민들이 드디어 바다를 만지고 느낄 수 있는 공간이 생긴다는 것은 매우 의미가 깊은 일"이라고 말했다. 

 

이의중 대표는 그러면서도 "이러한 의미 있는 사업이 너무 관 주도로 진행되고 시민과의 소통이 형식에 그치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채 진행되고 있다"며 "시민들이 직접 들어가서 걸어보고 상상하고 제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개항창조도시의 거점 사업인 '상상플랫폼'을 대기업이 운영하게 되는 방식이나 제물포구락부에서 술을 파는 것 역시 충분히 좋은 아이디어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에서 먼저 아이디어를 일방적으로 내세운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도시재생' 사업의 기한을 정해두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한 세대가 가치를 부여하면 그다음 세대가 고민해 다시 만들어나가는 것이 '도시'라는 게 그의 철학이다.

이의중 대표는 "우리가 현재 생각하는 가치를 후대에 억압해서는 안 되고, 우리가 보전할 수 있는 부분은 잘 갖춰놓고 다음 세대가 또 이야기를 부여할 수 있는 여지도 만들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인천에서 다양한 건축공방을 하는 사람과 후배들이 모여 따로, 또는 같이 재밌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글/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사진/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이의중 대표의 경력과 대표작품

▲ 2007~ 2009 일본(시라가와코)/중국(왕가대원) UNESCO세계문화유산 조사단(문부과학성)

▲ 2009~ 2012 쿠라시키 건축공방 나라무라 설계실(건축문화재 복원 및 건축재생)

▲ 2012~ 2013 LH 한국토지주택공사(국토부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담당 연구원)

▲ 2013~ 2014 AURI 건축도시공간연구소(국토부 도시재생 선도사업 담당 연구원)

▲ 2015~ 현 건축재생공방 대표(건축자산을 활용한 건축재생)

- 인천 아카이브 카페 빙고(근대 얼음창고 1920년), 2015년

- 인천 송학동 일본주택(마치야형태의 목조건물 1936년), 2016년

- 인천여관x루비살롱(산업시대 쪽방형 여관 1965년), 2017년

- 인천시 영상위원회 커뮤니티공간(일본식 근대벽돌창고 1930년대), 2017년

- 공유공간 52치(서울시 청년허브, 구 질병관리본부 공간활용 1960년대), 2017년

- BE IN HOUSE(서울시 금천문화재단 빈집프로젝트 1호 1980년대), 2017년

- 인천 차이나타운 화교협회 회의청 설계(청나라 목조건물 사무동 1887년), 2018년

- 인천서점(인천아트플랫폼), 2018년

- 인천 근대문학관 기획전시관(구 미츠이물산 인천출장소 1920년대),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