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일선 시·군에 수천억원이 투입돼 배수펌프장이 설치됐으나 상주 근무요원 없이 부실하게 운영, 유사시 대형사고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을 사고 있다.

3일 경기도가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박승국(한·대구 북갑)의원에게 제출한 '배수펌프장 및 관리인원 현황'에 따르면 도내 24개 시·군에 설치된 배수펌프장은 모두 142개소이지만 현장에 상주하는 공무원은 61개소 102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대부분 배수장의 경우 공무원 1명이 인근 2~4곳을 맡아 관리하고 있으며, 그나마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직 공무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택시의 경우 공무원 1명이 상주해 포승·유천 등 18개 배수장을 모두 관리하고 있으며, 5개 배수장이 있는 의정부시도 2명만 배치돼 있다.
수차례 물난리가 났던 파주시는 문산·금촌 등 32개 배수장에 19명의 공무원만 배치하고 있고, 이천시와 안성시도 각각 1명만이 상주해 3개씩의 배수장을 관리하고 있다.

반면 7개 배수장이 있는 광명은 14명을 고용해 유사시를 대비하고 있고 4개 배수장을 관리하는 연천과 광주도 각각 6명이 상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도는 최근 3년간 한수이북 지역 등에 비피해 해소를 위해 2천813억원을 들여 55개소의 배수펌프장을 신규 건설했으나, 상주 직원(15개소 22명)을 늘리지 않아 '시설만 늘리고 관리 인력이 없어' 유지관리비만 낭비하는 것은 물론 유사시 대형사고를 방치할 우려를 낳고 있다.

실제 동두천 신천의 경우 지난 96년, 98년, 99년 등 3년간 3차례에 걸쳐 물난리가 났는데, 상주 직원 1명이 13개 펌프장을 관리하면서 대형사고를 냈으며 당시 구리시도 집중 호우에 따른 수급 조절을 못해 물난리를 자초한 바 있다.

박 의원은 “경기도가 수천억원을 들여 배수시설을 확충하면서 전문 인력을 늘리지 않는 기형적인 행정을 펴고 있다”며 “그러면서 최근 3년간 신규 건설한 55개소 배수장 유지 관리비로 11억2천만원의 예산을 과다하게 사용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