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해안지역에 22일 밤 쓰나미가 들이닥쳐 수백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168명에 달하며, 시간이 갈수록 사망자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인도네시아 국가재난방지청은 23일 긴급성명을 통해 "전날 밤 순다 해협 일대를 덮친 쓰나미로 인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가 168명이고, 부상 745명, 실종 30명으로 파악됐다 "고 발표했다.
재난방지청은 아울러 "수백채의 주택과 건물이 파손됐다. 잔해에 깔린 주민들을 구조하기 위해 중장비를 투입하고 있다"며 "현황 파악이 진행됨에 따라 사상자 수가 더 늘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재난방지청은 당초 이날 아침 사망자를 43명으로 발표한 후, 오전 10시 집계에서는 사망자를 62명으로 정정했다. 하지만 사망자 신고가 계속 이어지면서 오후 들어 사망자 수가 크게 늘었다.
재난방지청에 따르면 순다 해협 근처로 알려진 해변 지역에는 22일 오후 9시 27분께 갑자기 쓰나미가 밀어닥쳤다.
최고 수m에 달하는 쓰나미가 휩쓴 해변지역은 차량이 뒤집히고 건물 수십 채가 파손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주민들이 급히 고지대로 대피했지만 쓰나미의 습격을 미처 피하지 못한 주민들은 생명을 잃거나 부상을 입었다.
사망자는 전원이 현지인이고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주인도네시아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반텐 주 세랑 지역 안예르 해변에 있던 한국인 관광객 7명이 쓰나미에 놀라 안전지대로 피신한 외에 한국인 피해 사례는 접수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기상기후지질청(BMKG)은 만조와 작은 쓰나미가 겹치는 바람에 예상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BMKG 관계자는 "지난 9월 28일 술라웨시 섬 팔루 지역을 덮쳤던 대형 쓰나미와 마찬가지로 해저 산사태가 쓰나미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BMKG는 전날 순다 해협에 있는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이 분화한 것이 쓰나미를 일으킨 원인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은 22일 낮부터 오후 9시 3분까지 최소 4차례 분화한 바 있다.
인도네시아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있어 지진과 화산분화, 쓰나미 등으로 인한 피해가 자주 발생한다.
인도네시아 국가재난방지청은 23일 긴급성명을 통해 "전날 밤 순다 해협 일대를 덮친 쓰나미로 인해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가 168명이고, 부상 745명, 실종 30명으로 파악됐다 "고 발표했다.
재난방지청은 아울러 "수백채의 주택과 건물이 파손됐다. 잔해에 깔린 주민들을 구조하기 위해 중장비를 투입하고 있다"며 "현황 파악이 진행됨에 따라 사상자 수가 더 늘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재난방지청은 당초 이날 아침 사망자를 43명으로 발표한 후, 오전 10시 집계에서는 사망자를 62명으로 정정했다. 하지만 사망자 신고가 계속 이어지면서 오후 들어 사망자 수가 크게 늘었다.
재난방지청에 따르면 순다 해협 근처로 알려진 해변 지역에는 22일 오후 9시 27분께 갑자기 쓰나미가 밀어닥쳤다.
최고 수m에 달하는 쓰나미가 휩쓴 해변지역은 차량이 뒤집히고 건물 수십 채가 파손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주민들이 급히 고지대로 대피했지만 쓰나미의 습격을 미처 피하지 못한 주민들은 생명을 잃거나 부상을 입었다.
사망자는 전원이 현지인이고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주인도네시아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반텐 주 세랑 지역 안예르 해변에 있던 한국인 관광객 7명이 쓰나미에 놀라 안전지대로 피신한 외에 한국인 피해 사례는 접수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기상기후지질청(BMKG)은 만조와 작은 쓰나미가 겹치는 바람에 예상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BMKG 관계자는 "지난 9월 28일 술라웨시 섬 팔루 지역을 덮쳤던 대형 쓰나미와 마찬가지로 해저 산사태가 쓰나미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BMKG는 전날 순다 해협에 있는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이 분화한 것이 쓰나미를 일으킨 원인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은 22일 낮부터 오후 9시 3분까지 최소 4차례 분화한 바 있다.
인도네시아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있어 지진과 화산분화, 쓰나미 등으로 인한 피해가 자주 발생한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