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태준(사진) 이천시장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를 어디에 조성할 것인지와 관련해 가장 중요한 기준은 'SK하이닉스가 가장 원하는 곳이 어디냐'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엄 시장은 "SK하이닉스의 글로벌 경쟁력 지원을 위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이라면 SK하이닉스가 위치를 정하고, 정부와 대통령이 대통령령을 바꿔서라도 SK하이닉스가 원하는 곳에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반도체 클러스터 위치를 어디로 정할 것이냐의 문제는 SK하이닉스의 운명이 걸려 있는 너무나 중요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엄 시장은 특히 "SK하이닉스에게 물어봐야 한다. 그것이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위한 길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통령령을 개정해서라도 본사가 있는 이천에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면 SK하이닉스는 당연히 그것을 가장 바랄 것이다. 비수도권에 위치한 지역과의 상생을 위해서는 수도권에 있는 기업들이 내는 세금의 일정비율을 지방균형발전을 위해 사용하도록 제도를 만들면 된다"고 말했다.
엄 시장은 "수도권정비계획법의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의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돼 있다. 용인은 대부분이 공장 증설이 용이한 성장관리권역으로서의 이점으로 인해 수많은 기업들이 들어 서 있다. 이미 인구 100만 도시다. 이천은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으로 인해 전 지역이 자연보전권역으로 지정 돼 있다"고 설명했다.
엄 시장은 "용인처럼 이천지역을 잘 살펴 상수원 수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지역을 성장관리권역으로 지정해주면 그곳에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수 있다. 자연보전권역에서는 6만㎡ 이상의 공장 설립이 불허되지만 국민경제 발전을 위해 대통령령으로 달리 정할 수 있기 때문에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클러스터를 SK하이닉스 본사가 위치한 이천에 조성하는 것이 대한민국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길이므로 대통령령으로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을 고쳐주기를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천/서인범기자 si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