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젊은시절 우연히 접해 외길인생 택해
우랄산맥 5600m등 50여개국서 체험
교육생에 노하우 전수·동호인과 교류

지금껏 살아온 인생의 절반 이상을 쏟아부은, 사실상 자신의 인생 전부나 다름없는 패러글라이딩이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사랑받았으면 하는 게 그의 바람이다.
매서운 칼바람이 몰아치는 한겨울에도 패러글라이딩을 위해서라면 그는 하늘을 나는 일을 마다하지 않는다.
천 팀장은 "패러글라이딩은 하늘과 자연을 벗삼아 즐기는 너무나 멋진 스포츠"라며 "마치 누군가에게 첫눈에 반하듯이, 처음 패러글라이딩을 경험했을 당시의 강렬한 느낌을 잊지 못해 현재까지 오게 됐다"고 설명했다.
젊은 시절 우연히 접한 패러글라이딩에 푹 빠진 천 팀장은 곧바로 자신의 진로를 설정, 패러글라이딩 외길 인생에 뛰어들었다. 러시아 우랄산맥 5천600m 고지를 비롯해 전 세계 50여개국을 돌며 패러글라이딩의 진수를 체험했다.
직접 비행을 즐기면서, 또 누군가에게 이를 가르치면서 25년 세월을 패러글라이딩에 전념해 온 그가 느낀 패러글라이딩의 매력은 단순한 즐거움 그 이상이다.
천 팀장은 "처음에는 단순히 재밌고 짜릿한 느낌이 좋았지만, 오랜 시간 반복하면서 자연의 위대함과 인간의 겸손함을 깨닫게 됐다"며 "동력 없이 공기의 힘으로만 하늘을 난다는 건, 자연을 거슬러선 가능할 수 없는 일이다. 하늘·바람·산 등의 자연 앞에 항시 겸손하고 이를 후손에게 온전히 돌려줘야 한다는 철학을 갖게 됐다"고 강조했다.
재미와 매력에 이끌려 업으로 삼았지만, 그는 돈을 버는 것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패러글라이딩이 일부만 누리는 종목이 아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는 것이 그의 진정한 목표다.
이에 그는 패러글라이딩 관련 클럽을 개설해 교육생들에게 자신의 오랜 노하우를 아낌없이 전달하고 있으며, 50여명의 동호인들과도 활발한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패러글라이딩의 진정한 매력을 단 한 명이라도 더 느끼게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천 팀장은 "내가 인생을 걸었듯이 누군가에겐 즐거움 그 이상의 가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열심히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