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의지가 있지만 준비는 안돼
친구관계 유지" 추후협상 여지 남겨
美, 시간 두고 비핵화 견인 선택한듯
결국 제재 완화가 쟁점이 됐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선(先)제재 완화를 요구한 반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비핵화를 우선시 하면서 협상 결렬의 주요 원인이 작용 됐다는 분석이다.
이런 양측간의 간극은 더 이상 좁혀지지 못했고 북한의 비핵화 실행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를 주고받자는 핵 담판은 실현되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비핵화 의지가 있었지만, 완전하게 제재를 완화할 준비는 안 돼 있었다"면서 "(북한이) 제재완화를 원했지만 우리가 원했던 것을 주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합의문에 서명하는 건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밝히면서도 "현재 제재가 유지되고 있다. 제재가 하나도 해제되거나 완화된 게 없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차이를 어떻게 좁혀나갈 것이냐는 질문에 "일단은 차이가 있다"며 "우리가 원하는 비핵화를 우리에게 줘야지만 우리도 제재완화를 해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김정은 국무위원장, 북한과 계속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며 추후 협상에 대한 여지를 남겼다.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도 "싱가포르에서 합의한 바에 대해 많은 진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고 실제 진전이 이뤄졌지만, 끝까지 가지 못했다"며 "저는 더 많은 걸 요구했고 김 위원장은 준비가 돼 있지 않았다.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 정상회담 국면에서 "우리는 서두를 게 없다", "긴급한 시간표는 없다"면서 속도조절론을 거듭 피력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시간에 쫓겨 북한의 페이스에 끌려다니기보다는 제재를 고리로 시간을 두고 비핵화를 견인하는 쪽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
트럼프 "北, 우리가 원하는 비핵화 줘야만 제재완화 가능"
입력 2019-02-28 21:48
수정 2019-02-28 21:4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3-01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