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이식을 통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을 치료한 두번째 사례가 보고됐다.
영국 런던에 사는 한 남성이 줄기세포 이식을 통해 에이즈 바이러스가 더는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AP와 AFP 통신 등이 5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07년 독일 베를린에서 백혈병 치료 목적으로 혈액 줄기세포를 이식받은 미국인 남성 환자가 백혈병뿐 아니라 HIV 감염 징후도 나타나지 않은 것과 유사한 사례다.
보도에 따르면 런던에 거주하는 익명의 이 남성은 지난 2003년 HIV 감염 진단을 받았으며 2012년부터 약을 먹기 시작했다. 감염 후 오랫동안 약을 복용하지 않은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이 남성은 2012년 혈액암의 일종인 호지킨 림프종이 발병했고, 2016년에 이를 치료하기 위해 줄기세포를 기증받아 이식 수술을 받았다.
그 결과 이 남성은 호지킨 림프종을 치료할 수 있었고, HIV의 흔적도 발견되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 수술 후 약을 끊은 뒤 거의 19개월 동안 HIV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줄기세포 기증자에게서는 HIV에 자연 면역력을 가진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HIV가 인체 세포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CCR5'의 발현을 기증자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차단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HIV 감염자의 유일한 치료법은 매일 알약을 먹는 것으로, 만일 약을 먹지 않으면 통상 2~3주 이내에 바이러스가 다시 살아난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Nature) 온라인판에 4일(현지시간) 발표됐다.
영국 런던에 사는 한 남성이 줄기세포 이식을 통해 에이즈 바이러스가 더는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AP와 AFP 통신 등이 5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07년 독일 베를린에서 백혈병 치료 목적으로 혈액 줄기세포를 이식받은 미국인 남성 환자가 백혈병뿐 아니라 HIV 감염 징후도 나타나지 않은 것과 유사한 사례다.
보도에 따르면 런던에 거주하는 익명의 이 남성은 지난 2003년 HIV 감염 진단을 받았으며 2012년부터 약을 먹기 시작했다. 감염 후 오랫동안 약을 복용하지 않은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이 남성은 2012년 혈액암의 일종인 호지킨 림프종이 발병했고, 2016년에 이를 치료하기 위해 줄기세포를 기증받아 이식 수술을 받았다.
그 결과 이 남성은 호지킨 림프종을 치료할 수 있었고, HIV의 흔적도 발견되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 수술 후 약을 끊은 뒤 거의 19개월 동안 HIV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줄기세포 기증자에게서는 HIV에 자연 면역력을 가진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HIV가 인체 세포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CCR5'의 발현을 기증자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차단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HIV 감염자의 유일한 치료법은 매일 알약을 먹는 것으로, 만일 약을 먹지 않으면 통상 2~3주 이내에 바이러스가 다시 살아난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Nature) 온라인판에 4일(현지시간) 발표됐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