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길원 목사3
송길원 목사가 하이패밀리와 소아암어린이 공원묘원에 대해 설명을 하며 "아이들의 부모를 위한 치유 프로그램은 목회자로서 마땅히 해야할 사명"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소아암으로 세상 등진 아이, 장례 제대로 안치르기도
사후에도 그들을 기억할 공간 만들기 위해 묘원 마련
아이와 부모 위해 장례·안장 무료… 화초장으로 진행

2019030901000683600032415
# 소아암으로 세상 떠난 어린이들, '그들이 편히 쉴 수 있는 곳' 공원묘역

국내 최초로 소아암으로 세상을 떠난 아이들을 위한 공원묘원을 찾아가는 길.

 

양평 두물머리(양수리)에서 공원묘원이 자리를 잡고 있는 양평군 서종면 도장리까지 가는 길 왼편은 맑은 북한강이 전날 내린 눈으로 한 폭의 수채화로 차창 밖으로 흐르고 오른편은 흰 눈에 덮여있는 야트막한 산이 빠르게 스쳐 지나갔다. 

 

20여분 남짓 승용차로 달려 도착한 하이패밀리 진입로. 입간판 안내를 따라 꼬불꼬불 이어진 깎아지른 듯한 시멘트 포장길 300여m를 오르니 큼지막한 흰색 건물과 계란 모형의 커다란 건물이 눈에 들어온다. 하이패밀리 동산. 

 

이곳에는 더블유 스토리 건물과 청란교회 등이 있다. 

 

교회 이름처럼 푸른 모양을 한 예배당이 있어 가족단위로 명상과 예배를 드릴 수 있다. 밖에서 보면 좁아 보이지만 들어가면 꽤 공간이 넓고 천장이 아파트 2층보다 높다.

개신교 가정사역 단체인 하이패밀리(Hi Family)가 지난 2016년부터 서종면 도장리 매곡산 자락 중턱 9만9천여㎡ 부지에 건립하기 시작한 가족테마파크 '하이패밀리 동산'이다. 

 

복합문화공간이자 가족 생태계복원을 위한 '힐링필드'인 이곳에 지난 2월 15일 문을 연 어린이 전문 화초장지(葬地) '안데르센 공원묘원'이 자리를 잡고 있다.

"백혈병 등 몹쓸 병으로 어린 자식을 먼저 떠나보낸 부모들은 경제적으로 곤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들은 또한 안타깝게 떠난 아이를 제대로 장사 지낼 마땅한 곳이 없어 강물이나 산야에 재를 뿌리고 훗날 아이를 찾아갈 기억의 공간이 없음에 또다시 큰 아픔을 겪고 있습니다."

직원 안내를 받아 사무실을 찾아가 만난 하이패밀리 대표 송길원(62) 목사가 안타까운 현실을 속으로 삭이듯 덤덤하게 입을 열었다.

송 목사는 "부모보다 먼저 이 세상을 떠난 자식이라는 이유로 제대로 장례를 치르지 않는 경우도 많고, 사후에도 그들을 기억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뜻에서 어린이 묘원을 만들게 됐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송길원 안데르센
공원묘원 벽면에 붙어있는 안데르센 공원묘원 표기.

'더블유 스토리' 건물 앞 산자락 남동쪽방향에 자리를 잡은 안데르센 공원묘원은 익숙하지 않은 조형물과 시설물들이 곳곳에 보인다. 

 

계단을 따라 올라가니 가장 먼저 빨간색 '하늘나라 우체통'이 반긴다. 먼저 이 세상을 떠난 아이들에게 부모나 가족·친지들이 보내는 편지를 넣는 곳이란다. 또 철제 난간 펜스에는 하늘을 나는 듯한 흰색 나비와 'TALITHA CNMI'(달리다굼·소녀야 일어나라)라고 쓰여진 문구가 붙어 있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곰 캐릭터로 된 비석도 조만간 세울 예정으로 제작주문을 마친 상태란다. 

 

또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화초장으로 묻은 흔적이 없어지기에 앞쪽 벽면에 아이들이 잠든 곳을 알 수 있게 표식을 붙일 수 있도록 했다.

아이들이 잠드는 공간인 안데르센 공원묘원은 1천155㎡ 규모로, 잔디와 나무수국이 곳곳에 심어졌다. 

 

아이들 묘원답게 가지고 놀던 장난감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추모석도 군데군데 놓여있고 묘원 중앙부위에는 송 목사가 지은 헌사 '오래된 묘비'도 목판에 새겨 세워져 있다.

'나무수국은 우유 빛이다. 갓 태어난 아이의 뽀얀 피부를 닮았다…(중략)수국화에는 새 생명으로 피어날 아이들에 대한 그리움이 새겨져 있음을 알았다…(중략)내 아이를 보았으니 얼른 가서 아이가 먹고 배부를 밥을 지어야겠다'.

송 목사의 이곳에 묻힌 아이들에 대한 안타까움과 절망, 그리고 아이들 부모들을 위한 위로와 치유의 간절함이 구절마다 묻어나오는 듯 느껴졌다.

이곳 장례 절차는 화장을 한 아이 유골을 나무수국이나 잔디 밑에 종이관(한지)이나 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친환경적인 관에 담아 묻는 '화초장' 방식이다.

송 목사는 "안데르센 동화 중 한 주인공이 장미가 시들자 땅에 묻으면서 부활을 기대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거기에서 기인했다"고 장례방식을 설명했다.

소아암을 앓다가 엄마·아빠와 이별한 아이들에게 장례와 안장까지 모두 무료로 제공하고 관리비도 없다. 그래서 세계 소아암의 날인 지난 2월 15일에 개장한 이유라고 그는 설명했다.

송길원 목사 우체통
송길원 목사가 '하늘나라 우체통'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 아이를 먼저 떠난 보낸 가정의 회복과 힐링을 위해


송 목사는 신학교를 졸업하고 교회 목회자의 길이 아닌 가정사역 연구소를 설립, 새로운 선교의 길을 걸어왔다. 그가 안데르센 공원묘원에 아이를 묻은 가족 등을 위한 애도·치유프로그램에도 남다른 애정을 쏟고 있는 까닭이다.

단순히 아이들 장례를 치르는 데 그치지 않고 남은 부모들이 아픔을 이겨내고 새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이유라고 설명한다. 송 목사는 지난 1992년 하이패밀리를 설립, 지금까지 10만건의 가정치유 상담을 진행했다.

그는 "남은 가족이 아픔을 딛고 살아갈 수 있도록 그들을 위한 애도 프로그램을 나누고 안정적인 삶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 목사는 "우리나라 소아암 환자는 연간 1만4천여명, 이중 2천400여명이 끝내 사망한다"며 "암 진단 후 최장 3년을 살지만 대부분 가정이 아이 치료비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끝내 가정이 파탄 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적인 이유로 제대로 장례를 치르지 못한 부모들은 말할 수 없는 고통 속에서 살고 있다. 이들 엄마·아빠를 위한 치유 애도프로그램에 정성을 쏟는 것은 사역자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아이를 먼저 보낸 부모의 트라우마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고 아프다"며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아이가 세상을 떠나고 얼마만큼의 시간이 지나면 부모들은 아이가 암에 걸리고 부모보다 앞서 세상을 떠난 탓을 서로에게 돌리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어느 부부는 서로의 가족병력까지 들먹이며 상대방에게 씻지 못할 상처를 주는 경우도 보았다"며 가정 애도 치유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아이들이 태어나 부모에게 줬던 웃음과 행복·감사함을 생각해 보라고 권유하고, 저 세상에서 아이들이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있는 엄마 아빠를 본다면 어떻겠냐고 하면서 아이의 엄마·아빠로서 겪은 아픔을 서로 위로하고 감싸 안을 수 있도록 노력해 보라 한다"고 치유의 첫걸음을 귀띔해 줬다.

2019030901000683600032414

남은 가족들 치유 돕는 것, 사역자로서 마땅히 할 일
양평에 각별한 애정… "가장 큰 힘 돼준 사람은 아내"


# '가족생태학자' 송 목사의 양평사랑과 관심, 그리고….


"6·25전쟁 후 이북에서 피란 온 사람 중에 양평에 정착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 이유는 '양평'표기가 예전 일기 방식으로 읽으면 '평양'으로 읽혀 양평에 남다른 애정을 갖게 됐습니다. 그 후 그들이 추석·설 명절때 모여 고향을 그리워하며 북한음식을 만들어 먹게 된 것이 지금의 옥천 냉면거리의 시작입니다"라고 양평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그는 새벽마다 하이패밀리 동산이 자리 잡은 뒷산에 만들어 놓은 '주기도문 산책로'를 따라 정상에 올라 양평을 위해 기도한다고 했다.

 

"이곳에 하이패밀리 동산을 세우고 소아암 어린이 공원묘원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해 지역주민 안녕과 건강을 위해 한 목회자로서의 사명감으로 하루도 쉬지 않고 기도한다"고 했다.

송 목사에게 뒤늦게 '하이패밀리' 뜻을 물었다. 

 

그의 답은 "하이(Hi)는 '안녕'이 아닌 '행복혁신(happy innovation)'이며, '패밀리(Family)'는 '가족'이라는 의미를 물론 갖고 있지만 숨은 뜻은 따로 있단다. 'fam'은 'father(아버지) and mother(어머니)'의 뜻이고 'ily'는 'I love you'의 약자란다. 

 

그가 처음으로 의미를 붙여 만들었다는 답변에 감탄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수시로 강연회나 특강에 나가는데 그때마다 참석자들에게 '하이패밀리'의 의미를 설명하고 큰소리로 외치게 한 후 강연을 시작한다고 했다.

그에게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가장 큰 힘이 되어준 사람이 누구냐"고 묻자 그는 한순간 망설임도 없이 답을 했다.

"아내지요. 무엇보다 내가 먼저 이 세상을 떠나게 된다면 마지막으로 내 손을 잡아줄 사람도 아내일 테니 더욱 고맙고 감사한 사람이지요."

글·사진=양평/오경택기자 0719oh@kyeongin.com

■하이패밀리 대표 송길원 목사는?

'가족생태학자' 송길원 목사는 전남 고흥에서 태어났지만 교사인 부친의 잦은 전근으로 인해 부산에 사는 외할머니 손에서 성장했다. 

 

그는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는 외할머니 손에 이끌려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교회에 다니게 됐고, 대학도 고신대학교 신학과에 진학 후 고려신학대학원, 고려대학대학원, 미국 RTS를 졸업했다.

고신대 의대 교목(校牧)으로 재직(1984~1990) 후 가정해체로 고통당하는 이들을 치유하며 선교활동을 하기 위해 부산서 '가정사역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97년 고양 일산, 2002년 서울 양재동을 거쳐 지난 2016년 양평군 서종면으로 옮겨와 현재 '행복발전소' 하이패밀리에 이르렀다. 

 

또한 하이패밀리 내에 세운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교회' 정란교회 담임목사로 사역을 하고 있으며, 인생의 반려자이자 사역의 동역자인 아내 김향숙(하이패밀리 공동대표)씨 사이에 두 아들을 두고 있다. 

 

둘째 아들이 대학에서 심리학을 공부하다 뒤늦게 신학으로 바꿔 목회자의 길을 이을 준비를 하고 있다. 그는 국민포장을 수상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비움과 채움', '손으로 쓰는 기도', '행복한 죽음', '죽음이 있는 곳이 성지다', 해피엔딩 스쿨 교재 등 다수가 있으며, 일간지·잡지 등에 많은 연재물을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