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옹진군청 공무원으로 해마다 20회 넘게 출장… 사진전도 두 번 열어
박사 학위 취득 과정서 인연 닿았는데, 어느덧 1만3천장 발자취 쌓여
2010년 연평도 포격때 가장 먼저 현장 도착 '사진기자협회 특별상'도
남북 화해 분위기 조성 후 사진도 변화… 작품 소재 더 많아지길 소망

이들 섬은 위도상으로 한반도의 허리쯤에 있지만, 1953년 정전협정 직후 설정한 북방한계선(NLL·Northern Limit Line)을 기준으로 하면 남한의 서해 최북단에 있다.
두 차례의 연평해전, 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포격을 겪으며 국민들에게는 '한반도의 화약고'로 각인됐다.
지난해 '4·27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이 서해 5도에서 무력행위를 중단하기로 합의하면서 평화의 기운이 감도는 듯도 싶지만, 섬은 여전히 각종 군사시설에 둘러싸여 수천명의 병력이 주둔하고 있다.
서해 5도는 '국가지질공원' 지정이 추진될 정도로 독특한 자연풍경을 갖고 있는 동시에 군사적 긴장이 공존한다. 수많은 사진작가가 매료될 만한 피사체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진가로서 서해 5도에서 작품활동을 하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백령도는 4시간 가까이 여객선을 타야 하고, 적은 배편 때문에 무조건 1박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날씨 탓에 여객선 결항이 잦아 섬에 들어가거나 빠져나오기가 쉽지 않다.
같은 접경지역이지만, 서해 5도보다 접근성이 좋은 비무장지대(DMZ·Demilitarized Zone)를 소재로 한 작품사진이 더 많은 이유라는 게 사진작가들 설명이다.

원지영(46) 사진작가는 서해 5도를 가장 많이 찾아 작품을 남기고 있는 작가로 꼽힌다.
2005년부터 인천 옹진군청 미래협력과 공보팀에 근무하면서 사진 촬영 업무를 맡아온 직업적 특성이 서해 5도 전문작가로 만들었다.
그는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 등 서해 5도로만 매년 20차례 이상씩 출장을 다니고 있다. 14년 동안 드나든 인천 섬의 모습이 이제는 눈 감고도 훤하다고 한다.
원지영 작가는 4월 23일부터 29일까지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G타워에서 'NLLⅡ' 사진전을 가졌다.
이번 사진전에서는 2013년부터 최근까지 서해 5도에서 찍은 사진 31점을 전시했다. 원 작가의 서해 5도 사진전은 2013년 2월 부평아트센터에서 진행한 'NLL'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원지영 작가는 "2013년부터 작품을 목적으로 촬영한 사진 3천장 중 서해 5도를 가장 잘 표현한다고 생각한 사진을 골랐다"며 "공무원으로서 공적인 사진을 촬영하고 있지만, 작가로서도 수시로 섬에 출장을 가는 이점을 살려 예술적인 시각으로 서해 5도를 조명해야 한다는 의무감이 있었다"고 전시회를 개최한 취지를 설명했다.
원 작가는 노을이 질 무렵 서해 5도의 풍경을 담은 작품을 많이 선보였다. 작품명 'NLL#5425'는 백령도 해변으로 해가 떨어지면서 바다를 금빛으로 물들이고 있고, 기암괴석은 그림자처럼 검게 형태만 남았다.
그런데 여느 해변의 노을 지는 모습과 다른 점이 있다. 용의 이빨 같다고 해서 이름 지어진 군사 방호시설 '용치'(龍齒)가 금빛 물결을 뚫고 솟아 있고, 해병대 장병들이 무장을 한 채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사막처럼 드넓게 펼쳐진 대청도 해안사구를 담은 작품명 'NLL#6951'에서도 사진 끄트머리에도 '벙커'가 조그맣게 보인다.
카메라는 아름다운 풍경을 촘촘한 철조망을 거쳐서 봐야 하는 서해 5도의 현실(작품명 NLL#5357)을 숨기지 않았다.
원 작가는 "천혜의 풍경에 군사시설이나 군인이 끼지 않을 수 없는 공간이 서해 5도"라며 "평화로운 자연과 남북 분단의 긴장감이 공존하는 아이러니가 지난 전시회들의 공통된 주제"라고 말했다.

원 작가는 'NLL#'에 번호를 매기는 방식으로 작품명을 정했다.
언제 어디서 사진을 찍었는지 작품의 이름만 가지곤 알 수 없다. 보안상 이유로 군부대 측 요청이 있어 작품에 이름을 붙이지 못했다고 한다.
'찍히지 말아야 할 시설'이 찍힌 사진은 전시회와 도록에 올리지 못하는 제약도 있었다. 민간인이 살지 않고 군인만 주둔해 있는 사실상 '무인도'인 우도 사진은 이번 전시회에서 볼 수 없었다.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 또한 순탄하지 않았다. 출장 중 업무시간 외에 별도로 사진을 찍어야 했는데, 새벽이나 저녁이 아니면 시간을 내기 어려웠다.
원 작가는 "오후 4시쯤 연평도 조기역사관 인근에 있는 땅굴을 통해 해변으로 내려가 1시간이 조금 넘게 촬영을 했는데 그새 철조망 입구가 닫혀 꼼짝없이 갇힌 적이 있다"며 "휴대전화도 잘 터지지 않는 지역이라 간신히 면사무소에 연락했고, 군부대 측이 문을 열어줘 빠져나왔다"고 했다.
원지영 작가는 공무원 신분으로 한국사진기자협회가 주최한 2011년 한국보도사진전 '특별상'을 받은 독특한 이력이 있다.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사건 때 현장에 가장 먼저 들어간 사진가가 바로 원지영 작가였기 때문이다. 그는 포격 다음날 새벽 송영길 인천시장 등과 연평도로 들어갔다.
국내외 언론에는 포격사건 이틀이 지나서야 연평도 현지가 공개됐다. 그전까지 국내외 언론은 연평도 현지 상황을 살피기 위해 원 작가의 카메라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원 작가는 "연평도 포격 이후 언제 갑자기 섬에 들어갈지 몰라서 옷가지, 세면도구 등을 담은 장기 출장용 가방을 항상 군청 사무실에 두고 다닐 정도로 긴장상태였다"며 "4·27 남북 정상회담을 거치면서 서해 5도 현지 분위기도 긴장이 많이 누그러들었고, 나도 마음이 많이 놓였다"고 말했다.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원지영 작가의 사진도 조금은 바뀌었다.

2013년 전시회 때 북쪽을 향해 열려있던 백령도의 한 포대 속 포문은 올해 전시회에 출품한 사진 속에선 그물망으로 폐쇄돼 있었다.
이번 전시회 출품작은 지난해 가을에 촬영했다. 남북이 점점 가까워질수록 서해 5도에서 작품 소재가 더욱 많아질 것 같다는 게 원 작가의 전망이자 바람이다.
원지영 작가가 옹진군청에 근무하기 전까지는 인천 섬과는 별 인연이 없었다.
대학에서 사진을 전공한 그는 2003년부터 2년여간 경기도 수원에서 지역신문 사진기자로 일했다. 옹진군청으로 자리를 옮긴 후에도 2년 동안은 작품활동에 큰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원 작가는 "2007년께 사진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사진학과 교수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DMZ를 다루는 작가는 많지만, 서해 5도를 촬영하는 작가는 별로 없으니 업무의 특수성을 살려 서해 5도에서 작품활동을 해보라는 권유를 받았다"며 "그때부터 찍다 보니 어느덧 1만3천장에 달하는 서해 5도 사진이 쌓였다"고 했다.
다음 작품 구상에 대해선 "다른 사람이 베낄 것 같다"며 말을 아꼈지만, 조금의 힌트를 줬다.
원지영 작가는 "서해 5도에는 바다를 터전으로 삼는 직업을 대대로 이어오는 주민들이 많다"며 "앞으로는 서해 5도에 사는 사람의 이야기를 사진으로 전달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원 작가는 "피사체를 보면 항상 이게 마지막 모습이 아닐까 하는 마음가짐으로 촬영한다"며 "제 사진을 통해 많은 사람이 서해 5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고, 실제로 많이 찾아왔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사진/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 원지영 사진작가는?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나 부모를 따라 10살 때부터 인천에서 살기 시작해 인천신흥초등학교, 인천남중학교, 인항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사진이 취미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학창시절 인천의 한 스튜디오 강의를 통해 사진을 배우기 시작했다.
1998년 백제예술대학 사진과를 졸업하고,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거쳐 인천대학교 대학원에서 뉴미디어전공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인천·경기 지역신문 사진기자로 활동하다가 2005년부터 현재까지 옹진군청에 근무하고 있다. 2011년 제47회 한국보도사진전 특별상을 수상했고, 2013년과 2019년에 각각 'NLL'과 'NLLⅡ'라는 이름으로 사진전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