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시가 지방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양촌면 대포리 일대.
김포신도시 개발, 산업단지 조성, 택지개발 등 도시화가 진행중인 김포시는 무한한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풀어야할 난제도 산적해 있다. 도심고속도로 건설및 경전철사업 추진 등 신도시와 택지개발지구를 연계하는 도시사업은 시의 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으나 90년대 밀려 들어온 무분별한 공장의 정비와 농촌지역의 도시 기반시설 확충, 확장중인 수도권매립지로 인한 주민피해, 구도심 정비 등이 지역발전의 걸림돌로 남아 있다. 경인일보는 김포시가 도시개발을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를 상·중·하편으로 긴급 점검한다.<편집자주>

서울·인천·부천 등지에서 진입하는 김포시 첫관문에는 항상 공장이 눈에 띈다. 초입 도로 좌우 농지와 임야에는 어김없이 공장건물이 들어서 회색빛 공단을 연상하게 할 정도다.

지난 90년대 초 준농림지를 공장부지로 허가해 주면서 도시화가 진행된 서울·부천·인천 등 수도권서부지역에서 밀려 들어오기 시작한 공장은 현재 2천700여개(김포상공회의소 조사)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무등록공장과 조사에서 빠진 영세공장 등을 합치면 4천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특히 김포 초입을 지나 도시화한 김포동을 거쳐 이면도로를 타고 농촌지역으로 들어서면 공장의 군락이 진을 치고 있다. 신규 공장과 과거 김포읍에 있던 공장들이 이젠 농촌지역으로 깊숙이 침투한 것이다.

이는 상공회의소 통계수치가 증명하고 있다.

지난 2002년 760개로 조사된 김포동의 공장수는 2004년 644개로 116개가 감소했으나 농촌지역인 대곶면은 같은기간 112개 늘어난 607개, 통진읍 82개 증가한 374개, 하성면 68개 증가한 276개, 양촌면 58개 증가한 515개로 파악되고 있다.

농촌지역으로 들어선 공장들은 대부분 농지 끝자락의 임야에 많은 곳은 7~8개 업체, 적은 곳은 1~3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지방도및 농로를 따라 보이는 야트마한 산자락에는 어김없이 공장이 들어서 있다.

검단에서 김포로 이어지는 352번 지방도 좌측 산자락을 넘어 조성된 양촌면 대포2리 황토마을과 학운1리 고음달마을에는 330여개의 공장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서 마치 70년대 산업화 과정을 겪는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다.

농촌지역으로 들어선 공장 때문에 주민피해도 커지고 있다.

공장이 들어선 대부분의 지역이 상수도가 없어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인근 주민들은 지하수 고갈및 오염으로 식수가 모자란다는 민원을 제기하기 시작했으며 왕복 2차선의 지방도와 농로로 대형 화물차가 통행하면서 농촌에 남아있는 노인들이 교통사고 위험에 시달리고 있다.

김포시는 무분별하게 들어선 공장정비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시는 양촌면 대포리 일대 51만평의 지방산업단지 조성사업을 무분별한 공장정비의 첫단추로 보고있다. 주민보상을 눈앞에 두고 있는 지방산업단지로 준공후 500여개의 공장을 유치시키는 한편 양촌 대포리 일대의 무분별한 공장지역을 정비하겠다는 복안이다.

산업단지조성으로 일부 공장지역을 정비할 수 있으나 법절차를 거쳐 농촌 깊숙이 침투한 공장에 대한 이주대책은 만만치가 않다. 이주 단지를 조성하려 해도 예산마련이 어렵고 강제이주 또한 보상 등의 문제로 마당치 않다.

시민 박모(41·걸포동)씨는 “농촌지역의 공장난립으로 주민피해가 우려된다”며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김포지역의 무분별한 공장난립문제는 결국 시와 주민 모두가 신뢰를 바탕으로 해결점을 찾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김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