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공구 인접 '재배치' 연계 효과
산업·연구시설 182만8750㎡ 조성
2030년까지 300개 첨단기업 유치
전문인력 양성 '혁신생태계' 구축
바이오 중심도시 도약 기반 마련


2019063001002331300115403
인천 송도국제도시 11공구 산업용지를 확대하는 '송도 개발·실시계획 변경안'이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통과했다.

산업부는 지난 28일 제107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고 송도 11공구 산업용지를 확대 재배치하는 개발계획 변경안을 의결했다.

송도 11공구 산업용지 확대는 바이오 클러스터를 확대 조성하기 위한 조치다. 이번 개발계획 변경으로 송도 11공구 산업·연구시설용지는 175만4천533㎡에서 182만8천750㎡로 확대됐다.

또 산업시설용지가 기존 바이오 클러스터인 송도 4·5공구 인접 지역으로 재배치돼 바이오 산업 간 연계 효과가 강화됐다. → 그래픽·지도 참조

송도 4·5공구 바이오 클러스터에는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글로벌 바이오 기업이 입주해 연구개발 및 제품 생산 활동을 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 5월 신약 확보 R&D 16조원, 생산시설 확장 5조원, 글로벌 유통망 확충 2조원, 스타트업 지원 2조원 등 총 25조원을 송도에 투자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경제자유구역위원회는 이날 송도 11공구 개발계획 변경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바이오 클러스터 추진 현황을 보고받았다.

또 송도를 세계 일류 바이오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한 제조·혁신 생태계 조성 방안을 논의했다.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에는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50개 기업, 길병원·뇌연구원 등 4개 연구소, 연세대와 인천대 등 3개 대학, GE헬스케어 등 7개 지원기관이 입주해 있다.

하지만 선도·제조기업 중심으로 형성돼 있어 산업·혁신 생태계 고도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2019063001002331300115401

인천경제청은 2030년까지 300개 기업을 유치하고 1만5천명의 고용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제조·선도기업' 중심의 클러스터를 '제조·선도기업+R&D·중소·중견·창업기업'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인천경제청은 바이오 전문 인력 양성, 바이오벤처 지원센터, 유전체 분석 서비스 규제 샌드박스(유예) 사례 확산 등을 통해 바이오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게 된다.

또 바이오·의약 산업 관련 기자재를 생산·공급하는 중소·중견기업 90개, 벤처·스타트업 150여 개를 유치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인천시, 인천경제청, 기업들로 구성된 TF(태스크포스)팀에 참여해 셀트리온 등의 투자계획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제반 사항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며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계획을 국내외에 홍보해 국내 기업은 물론 외국인투자기업 유치도 촉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인천시는 5월30일 인천바이오헬스밸리 조성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인천경제청, 인천테크노파크,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참여하는 민관 협력 TF팀을 구성·운영하고 있다.

유병윤 인천경제청장 직무대리는 "이번 의결로 송도에 바이오 기업과 연구개발시설을 추가로 유치하는 계획이 탄력을 받게 됐다"며 "송도가 세계 바이오 산업의 중심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입주한 송도는 단일도시 기준으로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 용량을 갖추고 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