뜬금없는 '불모지 개척식 첨단산단 조성'서 탈피
기존 섬유·가구분야-ICT 융합 '산업구조 진화'
R&D 네트워크 구축… 스마트 생활소비재 집중
경원선축 연결된 5개 도시 등 '동반성장' 설계
접경지라는 한계에 갇힌 이 지역에 고속성장을 가져다줄 또 하나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새로운 성장동력'이라는 청사진이 한낱 장밋빛 희망이 아니라는 것은 양주테크노밸리가 가진 특성을 보면 더욱 분명해진다. 양주테크노밸리는 어느 날 느닷없이 정보통신기술(ICT)이나 인공지능(AI) 개발업체들을 끌어들여 첨단산업을 일으키고자 하는 '불모지 개척식' 산업단지가 아니다.
그러기에는 첨단산업 기반이 매우 허약할 뿐 아니라 여러 여건이 받쳐 주질 않는다.
경기도와 양주시의 구상은 기존 제조업을 IT나 통신기술, 서비스산업과 융복합해 4차 산업에 적합한 제조업 모델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스타트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이 핵심인 '제조업 3.0'의 전초기지 역할이 양주테크노밸리가 추구하는 방향이다.
사실 경기 동북부지역에는 자본과 생산시설이 취약한 중소기업들이 밀집해 단순히 제품 찍어내기에 급급하다 보니 제조업이 가파른 내리막길에 있다. 이대로 제조업 쇠퇴를 두고 보다가는 지역경제 전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팽하다.
양주테크노밸리는 '제조업 불멸'이라는 신조 아래 제조업의 진화로 경기 동북부의 산업구조를 혁신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 경원선축 5개 시·군의 성장동력
양주테크노밸리가 들어서는 양주시를 비롯해 의정부, 포천, 동두천, 연천 등 5개 도시는 모두 경원선을 축으로 서로 연결돼 있다.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으로 움직인다. 지리적으로 발전의 한계를 안고 있는 접경지라는 점도 비슷하다.
섬유나 가구, 식품산업이 이 지역의 주요 산업으로 속을 들여다보면 구조가 상당히 취약하다.
범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일자리 창출이나 혁신산업과는 동떨어진 모양새다. 영세성을 면치 못하는 중소기업이 많다 보니 생산성이 낮고 투자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
양주테크노밸리는 이들 도시 중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는 양주시를 중심으로 '신성장산업의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혁신적인 제조업을 확산하고 일자리를 확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는 기존에 없던 분야를 새로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기반산업인 섬유·가구산업에 서비스를 융합해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섬유·패션을 활용한 스마트 웨어러블 산업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원선축 5개 도시의 공동 성장을 유도한다는 목표다. 성공할 경우 경기 북부의 산업 지형도를 바꿀 미래 먹거리 산업이 될 수 있어 현재 이들 도시 간 협력이 활기를 띠고 있다.
■ 경기 북부 상생발전의 시작
경기 서북부 파주·고양의 경우 한강과 연결돼 있고 인천공항이나 인천항을 지척에 두고 있어 개발수요가 인근 도시와 비교해 큰 편이다.
특히 고양은 '통일 한국의 실리콘밸리 프로젝트'에 따라 6조7천억원의 투자와 약 25만 개의 일자리 창출 등 대규모 경기부양 특수마저 안고 있다.
또 남양주와 구리는 현재 진행 중인 미래첨단 에너지산업단지 '그린 스마트밸리' 조성에 남양주·구리 디지털 시티 조성계획까지 더해져 성장잠재력이 한층 향상됐다.
양주테크노밸리는 이들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뒤처진 접경지 5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혁신클러스터로서 제조업 기반의 신성장산업을 통해 지역 간 상생발전의 기틀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기적으로는 한반도 평화시대 '유라시아 경제권'의 수혜를 정통으로 받는 경기도 중심 산업단지로 부상도 노릴 수 있다.
■ 경기도 4차 산업혁명의 '퍼스트 무버(First-Mover)'
양주테크노밸리는 경기도 최초의 '스마트 라이프웨어 밸리(Smart Lifeware Valley)'로 조성된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 생활소비재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이끈다는 계획이다. 5G를 비롯한 각종 ICT산업이 융합되고 이를 유통하는 새로운 서비스 산업을 만들어 낸다.
양주시는 이러한 계획을 실현하고 연구·개발(R&D)을 진행할 대학, 연구소, 기업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서울대, 건국대, 서울과기대 등 7개 대학 부설기관 입주를 확정했고 한국인지과학산업협회를 비롯해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 경기섬유산업연합회, 한국가구산업연합회 등 9개 협회·조합도 입주를 약속했다.
한국섬유소재연구원과 아이패션비즈센터도 밸리 입주를 예약했다. 기업의 경우 입주 의향서를 제출한 기업만 중견기업을 포함, 40곳이 넘고 있다.
양주시는 지역 핵심산업인 섬유제조업을 스마트 생활소비재의 중심에 두려고 한다. 국내 고급 니트 시장의 90%, 세계 시장의 40%를 점유하고 있는 경기 북부 섬유제조 기반을 최대한 살려 경기도의 제2 제조업 부흥을 선도하겠다는 것이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