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상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질환 사망률이 대체로 OECD 평균보다 낮고 비만 인구도 적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건강지표는 양호한데도 정작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여기는 인구는 적은 것으로 나왔다.
21일 보건복지부의 'OECD 보건통계 2019년'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82.7년(남자 79.7년, 여자 85.7년)으로 OECD국가의 평균(80.7년)보다 2년 길었다.
기대수명이 가장 긴 일본(84.2년)과는 1.5년 차이가 났다.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률은 165.2명, 순환기계 질환 사망률은 147.4명, 호흡기계 질환 사망률은 75.9명, 치매 사망률은 12.3명으로 OECD 평균보다 훨씬 낮았다.
다만 자살 사망률(2016년)은 지속해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인구 10만 명당 24.6명으로 OECD 국가 중에서 리투아니아(26.7명)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사망률도 출생아 1천 명당 2.8명으로 일본(2.0명)보다는 많지만, 독일(3.3명), 프랑스(3.9명), 미국(5.8명)보다 적고, OECD 평균(3.8명)보다 1.0명 낮았다.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 비율(흡연율)은 17.5%로 OECD 평균(16.3%)을 약간 상회했지만 감소 추세다. 순수 알코올 기준으로 측정한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소비량은 2017년에 연간 8.7ℓ로 OECD 평균(8.9ℓ) 수준이었다.
'과체중 및 비만'으로 판명된 15세 이상 국민은 33.7%로 일본(25.9%)에 이어 두 번째로 적었다.
이렇게 지표상으로 드러난 건강 상태는 좋은 편이지만,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한국(29.5%)이 가장 적었다. 일본이 35.5%로 그다음으로 적었다.
그만큼 우리나라 사람이 건강염려증이 많다는 말이다.
이에 반해 호주(85.2%), 미국(87.9%), 뉴질랜드(88.2%), 캐나다(88.5%) 등 오세아니아와 북미 지역 국가에서는 조사 대상 10명 중 9명이 '본인은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자원을 보면, OECD 국가와 비교해서 임상 의사, 간호 인력(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인적 자원은 부족한데, 병상, 의료장비(MRI, CT 스캐너) 등 물적 자원은 많은 것으로 나왔다.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천명당 2.3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적었다. OECD 평균은 3.4명이었다.
의사가 많은 국가는 오스트리아(5.2명)와 노르웨이(4.7명)고, 적은 국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폴란드(2.4명), 일본(2.4명), 멕시코(2.4명) 등이었다.
간호 인력(간호사, 간호조무사)은 인구 1천명당 6.9명으로 OECD 평균(9.0명)보다 2.1명 적었다.
이에 반해 병원의 병상 수는 인구 1천명당 12.3개로 일본(13.1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OECD 평균(4.7개)의 약 3배 가까이 됐다.
인구 100만명당 자기공명영상(MRI) 보유 대수는 29.1대, 컴퓨터단층촬영기(CT 스캐너)는 38.2대로 모두 OECD 평균을 웃돌았다.
의료 이용도 과했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사 외래 진료 횟수는 16.6회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전체 평균 재원일수(18.5일)는 OECD 평균(8.2일)의 2배 이상이었다.
제왕절개 건수는 출생아 1천 명당 451.9건으로 OECD 국가 중 터키(531.4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OECD 평균은 265.7건이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 의료비 지출 규모는 7.6%로 OECD 평균(8.8%)보다 다소 낮지만, 증가속도는 빠르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우리나라의 장기요양 수급자 비율은 8.3%로 OECD 평균(12.5%)보다 낮지만, 급속한 고령화의 영향으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OECD Health Statistics 2019 요약표]
주 1) 2017년 기준. 다만, 각 국의 통계작성 기준에 따라 이용 가능한 가장 최근 자료를 사용함
2) 주요 질환의 사망률은 회원국의 전체적인 자료 제출 여건에 따라 2016년을 기준으로 함
※ 본 자료는 「OECD Health Statistics 2019」에 수록된 보건통계지표 중 사회적 관심이 높고, OECD 회원국 대부분이 제출하여 비교가 가능한 통계를 선정하여 정리함
주요 질환 사망률이 대체로 OECD 평균보다 낮고 비만 인구도 적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건강지표는 양호한데도 정작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여기는 인구는 적은 것으로 나왔다.
21일 보건복지부의 'OECD 보건통계 2019년'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82.7년(남자 79.7년, 여자 85.7년)으로 OECD국가의 평균(80.7년)보다 2년 길었다.
기대수명이 가장 긴 일본(84.2년)과는 1.5년 차이가 났다.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률은 165.2명, 순환기계 질환 사망률은 147.4명, 호흡기계 질환 사망률은 75.9명, 치매 사망률은 12.3명으로 OECD 평균보다 훨씬 낮았다.
다만 자살 사망률(2016년)은 지속해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인구 10만 명당 24.6명으로 OECD 국가 중에서 리투아니아(26.7명)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사망률도 출생아 1천 명당 2.8명으로 일본(2.0명)보다는 많지만, 독일(3.3명), 프랑스(3.9명), 미국(5.8명)보다 적고, OECD 평균(3.8명)보다 1.0명 낮았다.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 비율(흡연율)은 17.5%로 OECD 평균(16.3%)을 약간 상회했지만 감소 추세다. 순수 알코올 기준으로 측정한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소비량은 2017년에 연간 8.7ℓ로 OECD 평균(8.9ℓ) 수준이었다.
'과체중 및 비만'으로 판명된 15세 이상 국민은 33.7%로 일본(25.9%)에 이어 두 번째로 적었다.
이렇게 지표상으로 드러난 건강 상태는 좋은 편이지만,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한국(29.5%)이 가장 적었다. 일본이 35.5%로 그다음으로 적었다.
그만큼 우리나라 사람이 건강염려증이 많다는 말이다.
이에 반해 호주(85.2%), 미국(87.9%), 뉴질랜드(88.2%), 캐나다(88.5%) 등 오세아니아와 북미 지역 국가에서는 조사 대상 10명 중 9명이 '본인은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자원을 보면, OECD 국가와 비교해서 임상 의사, 간호 인력(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인적 자원은 부족한데, 병상, 의료장비(MRI, CT 스캐너) 등 물적 자원은 많은 것으로 나왔다.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천명당 2.3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적었다. OECD 평균은 3.4명이었다.
의사가 많은 국가는 오스트리아(5.2명)와 노르웨이(4.7명)고, 적은 국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폴란드(2.4명), 일본(2.4명), 멕시코(2.4명) 등이었다.
간호 인력(간호사, 간호조무사)은 인구 1천명당 6.9명으로 OECD 평균(9.0명)보다 2.1명 적었다.
이에 반해 병원의 병상 수는 인구 1천명당 12.3개로 일본(13.1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OECD 평균(4.7개)의 약 3배 가까이 됐다.
인구 100만명당 자기공명영상(MRI) 보유 대수는 29.1대, 컴퓨터단층촬영기(CT 스캐너)는 38.2대로 모두 OECD 평균을 웃돌았다.
의료 이용도 과했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사 외래 진료 횟수는 16.6회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전체 평균 재원일수(18.5일)는 OECD 평균(8.2일)의 2배 이상이었다.
제왕절개 건수는 출생아 1천 명당 451.9건으로 OECD 국가 중 터키(531.4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OECD 평균은 265.7건이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 의료비 지출 규모는 7.6%로 OECD 평균(8.8%)보다 다소 낮지만, 증가속도는 빠르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우리나라의 장기요양 수급자 비율은 8.3%로 OECD 평균(12.5%)보다 낮지만, 급속한 고령화의 영향으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OECD Health Statistics 2019 요약표]
분야 | 지표명 | 한국 | OECD 평균 1) | 최대 | 최소 | ||
건강수준 | 기대수명(년) | 82.7 | 80.7 | 84.2 | 일본 | 74.8 | 라트 비아 |
영아사망률(출생아 천 명당, 명) | 2.8 | 3.8 | 12.1 | 멕시 코 | 2.0 | 핀란 드 | |
암에 의한 사망률(인구 십만 명 당, 명)2) | 165. 2 | 200. 0 | 278. 8 | 헝가 리 | 119. 5 | 멕시 코 | |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 " ) 2) | 56.1 | 62.4 | 203. 1[' 15] | 라트 비아 | 32.9 | 스위 스 | |
허혈성심장질환에 의한 사망률( " )2) | 34.8 | 110. 6 | 406. 9 | 리투 아니 아 | 31.1 | 일본 | |
호흡기질환에 의한 사망률( " ) 2) | 75.9 | 66.0 | 120. 6 | 터키 | 29.0 ['1 5] | 라트 비아 | |
자살에 의한 사망률( " )2) | 24.6 | 11.7 | 26.7 | 리투 아니 아 | 2.6 | 터키 | |
본인 건강이 양호하다고 생각하 는 비율(%) | 29.5 | 67.9 | 88.5 | 캐나 다 | 29.5 | 한국 | |
건강 위 험요인 (건강의 비의료 결정요인 ) | 주류 소비량(15세 이상 인구 1인 당, ℓ) 흡연인구 비율(15세 이상 인구, %) | 8.7 17.5 | 8.9 16.3 | 12.3 26.5 ['1 6] | 리투 아니 아 터키 | 1.4 7.6 | 터키 멕시 코 |
남성 흡연인구 비율(15세 이상 인구, %) | 31.6 | 20.2 | 40.1 | 터키 | 9.1 | 아이 슬란 드 | |
측정된 과체중 또는 비만인구 비 율(%) | 33.7 | 59.3 | 74.2 | 칠레 | 25.9 | 일본 | |
보건의료 자원 | 총 병원병상(인구 천 명당, 개) | 12.3 | 4.7 | 13.1 | 일본 | 1.4 | 멕시 코 |
임상의사(인구 천 명당, 명) | 2.3 | 3.4 | 5.2 | 오스 트리 아 | 2.3 | 한국 | |
임상간호사(인구 천 명당, 명) | 6.9 | 9.0 | 17.7 | 노르 웨이 | 2.9 | 멕시 코 | |
CT 스캐너(인구 백만 명당, 대) | 38.2 | 27.8 | 111. 5 | 일본 | 5.8 | 멕시 코 | |
MRI 장비(인구 백만 명당, 대) | 29.1 | 17.4 | 55.2 | 일본 | 2.6 | 멕시 코 | |
의대 졸업자(인구 십만 명당, 명 ) | 7.6 | 12.6 | 24.9 | 아일 랜드 | 0.0 | 룩셈 부르 크 | |
보건의료 이용 | 의사의 외래진료(국민 1인당, 건 ) | 16.6 | 7.1 | 16.6 | 한국 | 2.8 | 멕시 코 |
치과의사의 외래진료(국민 1인당 , 건) | 1.5 | 1.3 | 3.2[ '16 ] | 일본 | 0.2 | 멕시 코 | |
환자 1인당 평균병원재원일수(일 ) | 18.5 | 8.2 | 28.2 | 일본 | 3.7 | 멕시 코 | |
제왕절개(출생아 천 명당, 건) | 451. 9 | 265. 7 | 531. 4 | 터키 | 148. 4 | 이스 라엘 | |
보건의료 비용 | GDP대비 경상의료비(%) 1인당 경상의료비 지출(US$ PPP) | 7.6 2,87 0.3 | 8.8 3,85 4.4 | 17.1 10,2 06.5 | 미국 미국 | 4.2 1,10 5.0 | 터키 멕시 코 |
의약품 | 항생제 소비량(DID) | 32.0 | 19.1 | 35.3 | 터키 | 9.5 | 네덜 란드 |
항우울제 소비량(DID) | 22.0 | 63.0 | 141. 4 | 아이 슬란 드 | 15.0 | 라트 비아 | |
장기요양 | 장기요양병원병상 및 시설침상 수(65세 이상 인구 천 명당, 개) | 60.9 | 48.0 | 82.8 | 룩셈 부르 크 | 4.5 | 그리 스 |
2) 주요 질환의 사망률은 회원국의 전체적인 자료 제출 여건에 따라 2016년을 기준으로 함
※ 본 자료는 「OECD Health Statistics 2019」에 수록된 보건통계지표 중 사회적 관심이 높고, OECD 회원국 대부분이 제출하여 비교가 가능한 통계를 선정하여 정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