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유역환경청(청장·최종원)이 지난 23일 수도권 오염하천의 대명사인 신천의 수질개선을 위한 '제4차 신천수질개선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등 관계기관과 폐수배출업체, 시민단체, 지역주민이 한자리에 모여 '신천 수질개선 종합대책(2016년 12월 수립)'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시민단체와 지역주민의 참여를 확대한 신천수질관리방안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신천 수질개선 종합대책은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 및 하수관로 보급 확대, 염색·피혁·축산시설 기술지원 및 지도점검, 지류하천 관리강화 방안 등이 담겨있으며, 향후 시민단체와 지역주민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민관합동 대책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신천은 양주시와 동두천시를 거쳐 연천군에서 한탄강으로 합류하는 하천으로 생활하수, 염색·피혁 등 공장폐수와 가축분뇨 등의 영향으로 수도권의 대표적인 오염하천으로 손꼽힌다.
그간 한강청과 지자체에서는 신천의 수질개선을 위해 생태하천복원사업, 하수관로 정비사업 등 여러 대책을 추진했으며, 덕분에 2015년까지 BOD 기준 '매우나쁨(Ⅵ, 2001~2015년 평균 11.2㎎/L)' 수준이던 신천수질이 2016년 이후 '약간나쁨(Ⅳ, 2016~2018년 평균 6.1㎎/L)' 수준으로 개선됐다.
하지만 신천 상류에 위치한 영세 섬유염색·피혁업체에서 배출하는 폐수로 인해 신천으로 유입하는 지천의 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며, 특히 염색폐수에서 방류되는 색도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다.
최종원 한강유역환경청장은 "신천이 더 이상 수도권 오염하천의 대명사가 아닌 지역주민에게 사랑받는 쉼터로 거듭날 수 있도록 관계 지자체와 배출업체, 지역주민과 함께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등 관계기관과 폐수배출업체, 시민단체, 지역주민이 한자리에 모여 '신천 수질개선 종합대책(2016년 12월 수립)'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시민단체와 지역주민의 참여를 확대한 신천수질관리방안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신천 수질개선 종합대책은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 및 하수관로 보급 확대, 염색·피혁·축산시설 기술지원 및 지도점검, 지류하천 관리강화 방안 등이 담겨있으며, 향후 시민단체와 지역주민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민관합동 대책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신천은 양주시와 동두천시를 거쳐 연천군에서 한탄강으로 합류하는 하천으로 생활하수, 염색·피혁 등 공장폐수와 가축분뇨 등의 영향으로 수도권의 대표적인 오염하천으로 손꼽힌다.
그간 한강청과 지자체에서는 신천의 수질개선을 위해 생태하천복원사업, 하수관로 정비사업 등 여러 대책을 추진했으며, 덕분에 2015년까지 BOD 기준 '매우나쁨(Ⅵ, 2001~2015년 평균 11.2㎎/L)' 수준이던 신천수질이 2016년 이후 '약간나쁨(Ⅳ, 2016~2018년 평균 6.1㎎/L)' 수준으로 개선됐다.
하지만 신천 상류에 위치한 영세 섬유염색·피혁업체에서 배출하는 폐수로 인해 신천으로 유입하는 지천의 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며, 특히 염색폐수에서 방류되는 색도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다.
최종원 한강유역환경청장은 "신천이 더 이상 수도권 오염하천의 대명사가 아닌 지역주민에게 사랑받는 쉼터로 거듭날 수 있도록 관계 지자체와 배출업체, 지역주민과 함께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
하남/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