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국 시장 '개발-환경 균형' 의지
'시민우려' 석탄발전, 연료교체 추진
도평리엔 750㎿급 양수발전소 유치
물 이용 신재생에너지 '훼손 최소화'
11년간 1조원 투입… 지역민도 환영
에너지 확보에 있어 환경문제가 전에 없이 큰 비중으로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민선 7기 들어서 더욱 뚜렷해진다.
아무리 값싼 에너지를 공급하더라도 환경피해를 줄 수 있는 시설이라면 과감히 제동을 걸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장자일반산업단지(이하 장자산단)의 집단에너지시설(석탄발전소)이다.
석탄(유연탄)을 원료로 사용하는 건 애초 산업단지 조성취지와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게 포천시의 생각이다.
장자산단은 원래 신북면 일대에 흩어져있던 염색공장을 모아 수질·대기오염 등 환경피해를 줄이려는 목적으로 조성됐다.
석탄발전소는 이런 목적과 동떨어져 있고 실제 환경피해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도 크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신재생에너지나 친환경에너지 사업이 떠오르고 있다.
시가 전국 지자체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한국수력원자력(주)(이하 한수원)의 양수발전소를 유치한 것도 달라진 에너지정책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도시성장을 위해 인구증대가 절실한 상황에서 환경 우선 정책은 어찌 보면 당연한 선택일지 모른다.
이처럼 과거와 크게 달라지고 있는 포천시의 환경정책을 최근 추진되고 있는 주요 에너지사업을 통해 살펴본다.
# 에너지사업의 환경규제
장자산단에 세워진 발전소는 최종 시험운전을 마치고도 4개월 가까이 멈춰있다. 아직 포천시의 사용승인이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발전소는 산업단지 내 입주업체에 값싼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지어졌다. 하지만 석탄을 연료로 사용한다는 점 때문에 설립 초기부터 시민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이중 삼중의 오염방지 장치도 시민들의 불안을 누그러뜨리지 못했다. 시민들의 반대운동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포천시도 발전소 측이 주장하는 환경안전에 대해 부정적이다.
석탄의 연소뿐 아니라 운송 과정에서도 유해물질이 광범위하게 유입될 수 있는 점을 들며 안전성에 상당히 회의적인 견해를 드러내고 있다. 과거와 비교했을 때 매우 엄격해진 잣대라고 볼 수 있다.
발전소 가동에 따른 경제성보다 환경피해에 더 무게를 둔 조치다. 당장 시는 연료교체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럴 경우 발전소 사업자는 막대한 추가 비용부담을 떠안아야 한다.
이 때문에 법정 다툼 등 양측의 갈등은 더욱 격해질 것으로 보인다.
시는 이를 감수하고서라도 환경 우선 원칙을 고수한다는 방침이다. 환경파괴가 오히려 장기적으로 더 큰 손실을 안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박윤국 시장은 "정부에서도 탈 석탄정책을 펼치는 상황에서 내륙분지인 우리 시에 석탄발전소가 들어서는 것에 대해 시민의 뜻을 모아 대응해나갈 것"이라며 석탄발전소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박 시장은 취임 후 줄곧 "후손에게 물려 줄 환경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시는 앞으로 환경피해 우려가 있는 에너지시설 억제정책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 에너지와 환경의 균형
양수발전소는 포천시에 새로운 에너지 정책의 지표가 되고 있다.
바로 환경과 조화를 이룬 에너지 사업이란 점에서다.
양수발전은 물을 이용한 전력생산으로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대표주자로 통한다.
전력 수요가 낮은 시간대 하부댐의 물을 끌어올려 저장한 후 전력 수요가 높아질 때 방류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방식이다.
포천시는 한수원의 양수발전소(설비 용량 750㎿)를 이동면 도평리에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총 11년 11개의 사업기간 동안 1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포천시로서는 지역경제 성장과도 맞물려 놓칠 수 없는 사업이었다.
무엇보다 포천시는 환경피해가 적다는 점을 사업추진의 가장 중요한 동기로 꼽았다.
한수원이 제시한 기존 양수발전소 설치지역 주민들에 대한 인식조사를 보면 자연훼손이 적다는 반응이 52%,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63점으로 나타났다.
시는 주민 만족도가 높은 것은 주변 자연환경과의 균형으로 파악했다.
자연훼손을 최소화하는 에너지사업이 시민들이 바라는 방향이라는 해석이다.
양수발전소는 이런 점에서 포천시의 새로운 에너지 정책과 맞아 떨어졌다.
양수발전소 사업은 지자체의 적극적인 유치의사가 중요한 요소인데 포천시는 이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 포천시의 새 미래상 '친환경 자족도시'
박윤국 시장은 지난 10일 재단법인 환경재단과 업무협약을 하는 자리에서 "우리 시에서는 시민의 건강을 해치고 환경을 파괴하는 행위에 대해 단호히 대처할 것이고 앞으로 더욱 최선을 다해 환경을 보호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천시의 도시개발과 환경정책의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시는 시의회, 환경재단과 손잡고 '친환경 도시조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의회가 시의 친환경 도시조성을 지원하고 환경재단이 전문적인 역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박 시장은 협업을 통해 "깨끗한 하천, 맑은 공기, 수려한 자연환경을 보전할 수 있도록 강력한 환경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가리켜 '쾌적하고 살기 좋은 친환경 자족 도시'라고 부르며 "포천시가 추구하는 도시성장 모델"이라고 했다.
환경정책을 통해 도시성장과 환경의 균형을 잡아나갈 것이라는 얘기다. 이 목표는 민선 7기 출범 때 이미 설정됐다. 이를 위한 주요 사업이 대기와 물관리 기능 강화 사업이다.
현재 포천시에서 추진되는 에너지사업이 여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석탄발전소는 대기관리 차원에서 억제되는 반면 양수발전소는 물관리 차원에서 육성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환경피해가 우려되는 시설은 시의 강력한 환경정책 드라이브로 규제될 전망이다. 또 지역경제 성장과 밀접한 에너지사업과 관련해서는 신재생이나 친환경 에너지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포천시는 환경정책을 친환경 자족 도시라는 장기 목표달성을 위해 계속 보완해 국제적으로 보편화하고 있는 '신 기후체제'에 발맞출 계획이다.
포천/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 그래픽/성옥희기자 okie@kyeongin.com/아이클릭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