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된일정 노래부르며 서로 격려
하늬해변 물범바위앞 도착 일행
인천 마스코트 실물 보는 즐거움
옥죽포 사구보며 국내최대 실감
종주 4일째를 맞이한 단원들은 새벽 기상에도 피곤한 기색 없이 숙소를 정리하고 목적지를 향해 발걸음을 옮겼다. 1시간을 걸어 사곶해변에 이르자 흩날리던 빗방울이 굵어졌다. 단원들은 각자 가져온 각양각색의 비옷을 입었다.
이번이 두번째 종주라는 백상훈(관교중3·14)군은 "2년전 참여했을 때 첫날 비가 내려서 신발이 다 젖었던 기억이 있다"며 "두번째 종주인만큼 이번에는 신발 방수커버도 챙기며 만반의 준비를 했다"고 했다.
서먹해하던 학생들은 어느덧 힘든 종주를 함께 하는 친구가 됐다. 단원들은 노래를 부르며 서로를 격려했다. 하늬해변 철책선을 따라 걷던 단원들은 손꼽아 기다렸던 물범바위 앞에서 멈췄다.
백령도 북동쪽 해안에서 800m가량 떨어진 이 바위는 점박이물범들이 가장 선호하는 휴식처로 알려져있다. 점박이물범은 천연기념물 331호로 서해권역에서 활동하며 백령도에는 매년 200~400여마리가 찾아온다고 한다.
정유나(벤자민인성영재학교·18)양은 "인천시 마스코트도 점박이물범이라 인형을 살만큼 좋아하는데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 정말 기쁘다"며 "점박이물범은 전세계에서 얼마 없는 희귀한 종으로 알고 있는데 백령도 앞바다에 오랫동안 머물다 갔으면 좋겠다"고 했다.
용기포신항에서 배를 타고 30분 걸려 도착한 대청도는 새하얀 모래사장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전체 면적이 축구장 70배 크기인 66만㎡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이곳 옥죽포 해안사구도 해변에서 날아온 모래가 수만년동안 쌓여 형성됐다.
"모래 서말은 먹어야 시집을 갈 수 있다"는 대청도 주민들 말을 실감할 수 있는 곳이다.
단원들은 바람이 부는 해안사구에 새겨진 다양한 무늬를 찾으며 시간을 보낸 뒤 대진동해변을 지나 대청고등학교에서 하루를 마무리했다.
권택함(부평서중1·13)군은 "할아버지 댁이 대청도라 명절과 방학 때 자주 와서 잘 안다고 자부했는데 친구들과 구석구석 걸으며 몰랐던 곳도 많아서 놀랐다"며 "오랫동안 걷는 게 힘들 때도 많았지만 새로 사귄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오늘 일정을 잘 마무리했다는 생각에 뿌듯함이 크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 1일(목) 일정
: 대청고~서내동~러브브릿지~동백나무자생북한지~모래울해변~광난두정자~서풍받이~고주동~대청성당~대청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