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차례 검토' 친일흔적 이유 보류
근거로 삼았던 기사도 사실과 달라


2019080701000525900024061
죽산 조봉암(1899~1959)은 독립운동가이자 해방 후 대한민국의 초석을 닦은 정치가이다.

제헌 국회의원과 초대 농림부 장관을 지내고, 제2대 국회의원과 국회 부의장을 거쳐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 나서기까지 그의 정치적 기반은 늘 인천이었다.

인천시는 조봉암 60주기 다음날인 지난 1일 인천시청 본관에 독립운동 관련 죽산의 어록과 태극문양을 조합한 대형 현수막을 걸어 그를 기렸다.

문재인 대통령은 3년째 꼬박 죽산의 추도식에 화환을 보내고 있다. 1959년 국가로부터 '사법 살인'을 당한 조봉암이 2011년 대법원 재심을 통해 복권된 지 8년이 지났다. 하지만 국가가 죽산의 명예를 회복하는 최종적인 단계라 할 수 있는 서훈은 아직 소식이 없다.

국가보훈처는 2011년과 2015년 각각 조봉암의 서훈을 검토했는데, 친일 흔적이 있다는 이유로 보류했다. 국가보훈처가 지난해 서훈을 재검토하기 위해 '조봉암 평전'을 쓴 이원규 작가를 찾아 증언을 수집하기도 했지만, 이후 검토작업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국가보훈처가 내세우는 죽산의 친일 흔적은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1941년 12월 23일자 신문에 실린 '국방성금 150원 헌납' 기사다.

이 기사에 나오는 조봉암의 주소가 틀렸다는 게 일본 공문서 등을 통해서 입증되고 있다. 현재 화폐가치로 환산하면 수천만원에 달하는 '국방성금 150원'을 당시 죽산이 낼 형편이 되지 않았다는 여러 사람의 증언도 있다.

죽산이 1945년 1월 '예비구금령'으로 용산 헌병사령부에 체포됐다가 8월 15일 해방을 맞아 풀려난 그 날, 인천 도원동 자택 주변에는 1천여명의 환영 인파가 몰렸다. 인천사람들이 일제에 항거한 정치지도자로 가장 먼저 죽산을 떠올렸기 때문일 것이다.

2011년 대법원 재심에서 간첩죄 무죄를 선고받기까지는 죽산의 서훈 문제는 공론화조차 할 수 없었다. 죽산 연구자들은 조봉암의 일제강점기 공산당 활동 경력이 복권된 이후에도 국가유공자 추서에 발목을 잡고 있는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죽산에게 사회주의는 항일운동을 위한 방편이었다. 이원규 작가는 "죽산의 서훈은 어쩌다 소외된 것이 아닌 국가가 회복해야 할 양심"이라며 "반드시 그의 업적에 걸맞은 훈격으로 추서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