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바로 앞인 선전(深천<土+川>)에 수천 명의 무장 경찰을 대기시켰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결국 본토 무력 투입을 자제하고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철회 카드를 꺼냈다.
일각에서는 어린 학생들까지 시위에 참여하는 등 홍콩 사태가 심상치 않아 '송환법 카드'를 버리지 않고서는 오는 10월 신중국 건국 70주년 행사를 제대로 치를 수 없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중국 경제를 흔드는 미·중 무역 갈등도 원만하게 해결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송환법 철폐에도 불구하고 홍콩 시민들이 대규모 시위를 이어가고 폭력 사태로 번질 경우 시진핑 주석으로서는 중국 국가 주권을 내세워 본토 무력 투입을 통한 진압을 선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5일 베이징 소식통 등에 따르면 홍콩 행정 수반인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이 4일 송환법 공식 철회를 발표한 데는 중국 지도부의 고민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지도부는 애초 송환법 통과를 통해 홍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며 미국과 대만에 대한 압박 공세를 강화하려고 했는데 송환법 철회로 인해 지도부의 체면을 구기는 큰 타격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수천 명의 무장 경찰을 선전에 배치해 연일 무력 투입을 위협하고 홍콩 주둔군 교체 작업을 통해 긴장감을 조성했음에도 230여 개 중고등학교, 1만여 명의 학생이 참여한 송환법 반대 동맹휴학이 홍콩 전역의 학교에서 진행되자 중국 지도부는 강경 입장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
전·현직 수뇌부 모임인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 이후 중국 지도부 내 강경파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홍콩 문제 또한 본토 무력 투입이 예상됐다. 그러나 홍콩 시위가 전 시민이 참여하는 '반중 운동' 양상으로 전개되자 송환법 철폐를 통해 수습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한 소식통은 "중국 지도부가 홍콩 시위에 중고등 학생까지 동참하자 놀란 것 같다"면서 "홍콩 사태가 대규모 반중 시위로 변모하기 전에 송환법 카드를 버리면서 봉합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오는 10월 1일 톈안먼(天安門) 광장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열병식과 더불어 '중국몽'을 설파할 시진핑 주석의 연설 등 주요 이벤트를 앞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홍콩 시위가 지속할 경우 시진핑 지도부 집권 2기의 발판이 될 신중국 건국 70주년 행사가 빛바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9월 1일부터 미·중 추가 관세로 무역전쟁이 격화된 가운데 홍콩 문제를 무역 협상과 연계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도 중국 지도부로서는 무시할 수 없는 대목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캐리 람 장관이 지난 4일 오후 송환법 철회를 선언한 다음 날인 5일 오전 미·중 양국이 통화를 통해 오는 10월 워싱턴에서 고위급 무역 협상을 재개하기로 한 점은 의미가 있어 보인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미·중 양국이 홍콩 사태와 무역 갈등에 있어 절충점을 찾은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캐리 람 장관의 송환법 철회 선언에도 홍콩 시위대의 나머지 요구 사항인 경찰의 강경 진압의 독립적 조사, 체포된 시위대의 조건 없는 석방 및 불기소,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은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또다시 홍콩 시민들이 나머지 요구사항을 받아들이라며 대규모 시위에 나설 경우 시진핑 주석으로선 본토 무력 투입을 고민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 주석이 지난 3일 중앙당교 간부 교육생들에게 "중국의 발전은 다양한 위험과 도전이 함께 부상하는 시기에 진입하고 있다"며 홍콩, 대만 문제 등을 투쟁의 대상으로 거론 한 점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다른 소식통은 "그동안 시진핑 주석이 홍콩에 대해서는 언급한 적이 없었는데 홍콩을 장기적인 투쟁의 대상으로 지목했다는 점은 결코 홍콩 문제를 좌시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손원태기자 wt2564@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