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2401001681500082591
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아이클릭아트

공직사회 '8시간 집중 근무제도' 전국 첫 선언
지역사회 활동·휴식시간 보장 '업무환경 혁신'
초과근무 예산 절감-일자리 나누기 등 기대

최빈국 불구 행복 1위 '부탄 GNH정책' 착안
'시정만족도 측정·대책 마련' 조례제정 추진
"물질적 풍요보다 시민공감 공동체 만들 것"


2019092401001681500082595
"시민 모두가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리고, 공동체 속에서 행복한 구리시를 만들기 위해 공직 사회부터 혁신하겠습니다. 시민 행복 특별시를 만들기 위한 구리시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겠습니다."

안승남 구리시장이 전국 최초로 공직 사회에 8시간 집중근무제 도입을 공식화하고, 시민 행복증진 프로젝트에 시동을 걸었다.

안 시장이 추진하는 '8·8·8 행복정책'은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을 묘사하며 시대적 화두로 부상하고 있는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시정에 반영, 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의지에서 출발한다.

하루에 8시간은 집중해서 근무하고, 8시간은 자기 계발 및 지역사회 일원으로서 활동하며, 나머지 8시간은 휴식을 취하도록 하겠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2019092401001681500082594
안승남 구리시장이 인터뷰에서 부탄의 행복정책을 시정에 접목시킨 '구리시민 행복증진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있다. /구리시 제공

안 시장은 "오랜 세월 관행이란 명분으로 굳어진 공직사회의 근무환경을 혁신적으로 개혁하고자 한다"면서 "공직사회가 먼저 솔선수범해서 시민사회에 파도를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시민 모두가 함께 공감하고 참여하는 시민 행복 시대의 새로운 공동체의 문을 열겠다"고 강조했다.

'8·8·8 행복정책'은 세부적으로 지난 2017년 고용노동부가 제안한 ▲정시 퇴근 ▲퇴근 후 자기계발 ▲업무집중도 향상 ▲생산성 위주의 회의 ▲명확한 업무지시 ▲유연한 근무 ▲효율적 보고 ▲건전한 회식문화 ▲연가사용 활성화 ▲관리자부터의 실천 등을 시가 행동 지침으로 삼겠다는 전략을 담고 있다.

여기에 잦은 초과근무는 점진적으로 축소하거나 아예 폐지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예산 절감 효과를 일자리 나누기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8·8·8 행복정책'은 '구리시민 행복증진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추다.

안 시장은 지난 8월 행복실현지방정부협의회 주관으로 부탄을 방문해 국민총행복(GNH)정책을 체험하면서 이같은 정책을 고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시장은 "연수 중 만난 부탄의 국민들은 경제적으로는 풍요롭지 않지만 마음의 여유가 있고, 화려하게 꾸미지 않았지만 평범한 삶 속에서도 그들만의 행복을 느끼며 살고 있었다"며 "결국 개인으로부터 시작해서 공동체로 모이는 것, 이것이 국민의 행복이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2019092401001681500082592
지난 8월 행복실현지방정부협의회 주관으로 부탄을 방문한 안승남 구리시장이 자이 비르 라이(Jai Bir Rai) 부탄 교육부 장관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구리시 제공

부탄은 세계의 지붕으로 불리면서도 정작 지도에서조차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한 인구 82만명의 작은 나라다.

1인당 국민소득(GDP)이 3천 달러도 안 되는 최빈국에 속하면서도 '국내총생산(GDP)보다 국민총행복(GNH)'을 더 중시하는 국정운영으로 주목받고 있다. 부탄 정부는 GNH정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국민 행복 지표'를 두고 2년 마다 '국민 총 행복 조사'를 하고 있다.

국민총행복에는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사회경제 발전, 문화의 보전과 증진, 생태계 보전, 굿 거버넌스(민·관 협력의 민주주의) 등 4개지 핵심 지표가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심리적·건강·교육·문화 다양성 등 9개 영역 33개 실천지침이 있다.

안 시장은 부탄의 GNH정책을 시정에 도입, '구리시민 행복증진 조례안' 제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의 주요 정책이 정말 시민 행복에 기여 하는지 사전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행복영향평가'와 더불어 시에 가장 적합한 시민 행복지표를 만들고, 그에 기초해서 시민 행복도 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함과 동시에 누가 어떤 점에서 행복한지, 덜 행복한지를 측정해서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의 조언을 구체화한다는 구상이다.

그는 시장 직속으로 '구리시민 행복위원회'를 두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안 시장은 "부탄에선 어디를 가든 '남'이 거의 없다"며 "가까우면 부모와 형제이거나 조금 멀면 사촌으로, 즐거움과 어려움을 함께 나누는 공동체 문화가 그들의 행복의 근원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2019092401001681500082593
안승남 구리시장이 부탄의 무상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이 공부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구리시 제공

그는 "성냥갑 같은 아파트에서 바로 옆집에 사는 이웃의 얼굴도 모르는 우리와는 너무도 대조적인 일"이라면서 "물질적 풍요만으로 따지면 GDP가 높은 나라가 으뜸이겠지만 개인소득 2천 달러에 불과한 부탄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하다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지적했다.

안 시장은 "가난한 나라 부탄, 부자 나라 덴마크를 연수하면서 절실하게 느낀 것은 모두가 행복한 사람들이 사는 공동체는 차별 없이 균등하게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주고 그것이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라며 "구리시민 행복증진 조례가 제정되는 2020년을 '자신의 행복, 가까운 사람의 행복, 지역 행복'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구리시만의 행복증진 프로젝트를 가동하기 위한 범시민 실천 운동을 위해 800여명의 공직자와 함께 행정역량을 모아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종우·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