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인터뷰 최연봉
동일방직 해고노동자 최연봉씨가 "동일방직에 복직해 단 하루라도 일하고 떳떳하게 사표를 내고 떠나는 것이 우리의 바람"이라고 말하고 있다.

국내 최초 女지부장 선출된 곳… 입사후 근기법 배우며 노조 알게돼
출퇴근 시간 지키기·식사시간 30분 확보등 근로조건 개선위해 투쟁
사측 똥물 투척등 탄압에 맞서 알몸시위·단식농성 항의 124명 쫓겨나
40년이 지났어도 '노조활동 방해 책임' 국가배상소송 여전히 싸움중

2019101501001015500048495
인천 여성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활동해 온 인천여성노동자회가 올해로 창립 30주년을 맞았다.

인천여성노동자회는 1970~80년대 활발하게 펼쳐졌던 인천 여성노동운동을 주춧돌 삼아 창립했다.

 

인천 여성노동운동의 역사를 다룰 때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사람들이 있다.바로 1970년대 동일방직 인천공장의 여성노동자다. 동일방직 여성노동자들은 사측의 노조 무력화 시도와 기관의 탄압에 맞섰다. 

 

이들이 있어 동일방직 인천공장은 1970년대 한국 여성노동운동의 산실이라고 불렸다.

동일방직 해고노동자인 최연봉(64)씨가 인천여성노동자회 30주년을 맞아 지난 14일 열린 여성노동자 토크콘서트에서 1970년대 대표로 나와 당시 여성노동자들의 치열한 삶을 이야기했다.

 

14일 부평아트센터에서 최연봉씨를 만나 동일방직 해고노동자의 못다 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최연봉씨는 1970년대 동일방직 인천공장에서 일하며 사측의 노조 탄압에 맞서 싸우던 여성노동자 중 한 명이다. 당시 동일방직 노조에서 총무차장으로도 활동하며 여성노동자의 권익 증진을 위해 앞장섰다.

전북 김제에서 7남매 중 막내로 태어난 최연봉씨는 중학교를 졸업했지만, 가정형편 등 문제로 고등학교에 진학하지는 못했다. 

 

배움에 대한 미련이 있었던 그는 일하면서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에 큰언니가 살고 있던 인천으로 올라왔다. 화수동의 솜공장에서 2년간 일하던 최연봉씨는 1975년 언니 지인의 소개로 동일방직에 입사했다. 

 

당시 동일방직은 1972년 우리나라 최초로 노조 여성지부장이 선출된 이후 노조의 요구로 여성노동자들의 근로조건 개선 등이 이뤄지고 있었다. 


2019101501001015500048492


최연봉씨는 입사 후 3개월이 지나 인천 도시산업선교회에서 근로기준법 공부를 하게 되면서 노조에 대해 알기 시작했다. 

 

그는 "다른 부서에서 일하는 고향 친구가 산업선교회에서 한문, 영어, 꽃꽂이 등 이것저것 가르쳐준다고 해서 바로 따라갔다"며 "입사하면 자동으로 노조에 가입된다는 것을 알고 나서 노조 사무실을 찾아갔다"고 말했다. 

 

그때부터 최연봉씨는 노조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기 시작했다. 노동자가 누려야 하는 권리를 찾기 위해서였다.

최연봉씨는 직포과에서 천을 짜는 일을 했는데, 그의 부서에는 식사시간이 거의 없었다. 조장이 5분 안에 밥을 먹고 오라고 하고 늦게 오면 눈치 주는 식이었다. 

 

자신이 맡은 기계를 청소하기 위해 항상 1시간 일찍 출근해야 했고, 일이 끝나도 실이 끊어져 있으면 다시 이어놓고 나와야 했다. 그는 출퇴근 시간 지키기, 식사시간 30분 확보를 위해 투쟁했다. 노동조합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사측은 근로조건 개선의 목소리를 높이는 노조를 와해하기 시작했다. 1976년 이영숙 노조지부장이 경찰에 연행된 틈을 타 회사 측 방침에 따르는 대의원만 모여 대의원대회를 열고, 기숙사 문을 잠그는 등 여성노동자들의 출입을 막는 일이 발생했다. 

 

이에 저항하기 위해 여성조합원들은 노동조합 사무실 앞 잔디에서 농성을 진행했고, 농성을 해산하기 위해 투입된 경찰에 저항하기 위해 '알몸시위'를 벌였다.

최연봉씨도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최연봉씨는 "20대 초반의 나이에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었기 때문에 방패를 들고 서 있는 경찰들이 다가올 때마다 들렸던 군화발 소리가 너무 무섭고 두려웠다"면서도 "노조가 없어지면 예전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생각에 간부들을 지키기 위해 버티고 있었는데 동료 중 누군가 '옷을 벗으면 경찰이 못 건드린다더라'고 했고 그 말을 들은 여성 노동자들은 수치심을 느낄 생각도 없이 옷을 벗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최연봉씨도 옷을 벗으려던 순간 직포과 담임이 그를 현장에서 데리고 나갔다. 이를 뿌리치고 농성 현장으로 돌아왔을 때는 이미 상황이 끝나 있었다.

 

연행되지 않은 최연봉씨와 조합원들은 농성장에 남아있는 옷가지를 들고 동부경찰서로 곧장 달려가 동료들을 내보내라고 항의했다. 그 날 저녁 연행된 동료들이 풀려놨는데 서로 얼싸안고 울었다고 했다.

공감인터뷰 최연봉

'알몸시위' 이후 조직을 추스르고 있을 때 또 한 번의 사건이 일어났다.

 

새로운 노조 집행부가 구성된 후 대의원선거가 열린 1978년 2월 당시 선거관리위원이었던 최연봉씨는 선거 준비를 마치고 노조 사무실에서 조합원에게 투표용지를 나눠주기 위해 대기하고 있었다. 

 

투표가 시작되는 오전 6시가 다 될 무렵 남성노동자 3명이 고무장갑을 낀 손에 양동이를 들고 노조 사무실로 들어왔다. 남성노동자들은 양동이에 들어있는 무언가를 사무실 책상과 바닥 곳곳에 뿌리기 시작했다. 

 

이물질이 머리와 옷에도 튀었다. 뒤늦게 코를 찌르는 역한 냄새를 맡고 나서야 이물질이 분뇨라는 것을 깨달았다. 너무 기가 막혀서 눈물조차 나오지 않았다. '동일방직 노동조합 똥물투척사건'이었다.

'동일방직 노동조합 똥물투척사건' 이후에도 사측의 탄압은 계속됐다. 

 

동일방직 여성노동자들의 상황을 알려야겠다는 생각에 여성 조합원들은 그해 3월 10일 장충체육관에서 개최한 노동절 행사에서 항의 시위를 하기로 했다. 

 

최연봉씨도 준비한 플래카드를 들고 동료들과 장충체육관을 찾았다. 입구에 들어가려던 순간 한 남성이 그를 붙잡더니 "어디서 왔느냐"며 기다리라고 했다. 

 

잘못하면 붙잡혀 있겠다는 생각에 그는 남성이 방심한 틈을 타 행사장으로 재빨리 들어갔다. 

 

놀란 가슴은 진정될 틈 없이 두근두근 뛰었다. 행사가 시작하고 최연봉씨와 여성 조합원들은 플래카드를 꺼내고 "동일방직 문제 해결하라", "똥을 먹고 살 수 없다"고 외쳤다. 

 

이 외침은 이후 동일방직 해고 노동자들이 만든 희곡 '동일방직 문제를 해결하라'에서도 재현돼 이를 지켜본 모두가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장충체육관 항의시위 이후 명동성당에 들어가 단식 시위 등 농성을 진행하던 중 사측은 여성노동자 124명을 해고했다. 최연봉씨도 이 중 한 명이었다. 

 

최연봉씨를 비롯한 해고노동자들은 산업선교회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며 해고·복직 투쟁을 했다. 

 

하지만 40년이 지난 지금도 최연봉씨 등은 동일방직 노조 활동 방해 책임을 묻는 국가배상 소송을 진행하는 등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

공감인터뷰 최연봉씨

최연봉씨를 비롯한 해고노동자가 떠난 자리에는 여전히 그들이 사용하던 기숙사 등 건축물이 남아있다. 

 

동일방직 인천공장의 가동이 멈추면서 기숙사 건물 등은 현재 방치돼 있다. 최연봉씨는 동일방직 기숙사 등 건축물이 노동자들이 필요로 하는 곳으로 활용됐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전하기도 했다.

그는 "인간답게 살고 싶었고, 이를 위해서는 노조가 필요하니까 이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것이 노동운동이 됐다"며 "우리의 기억 속에 생생히 남아 있는 공간이 노동사 도서관·박물관 등으로 재탄생하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최연봉씨는 "해고를 당했어도 우리가 잘못한 것이 없어 다시 들어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20대 초반 봄날에 해고돼 시간이 흘러 60이 넘은 나이에도 동일방직 해고자라고 이야기하는 상황이 한편으로는 씁쓸하기도 하다"며 "동일방직에 복직해 단 하루라도 일하고 떳떳하게 사표를 내고 떠나는 것이 우리의 바람"이라고 했다.

2019101501001015500048496

글/김태양기자 ksun@kyeongin.com 사진/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최연봉씨는?

▲ 1955년 전북 김제 출생

▲ 1975년 동일방직 입사 (前 동일방직 노동조합 총무차장)

▲ 1978년 동일방직 해고 (해고·복직투쟁 전개)

▲ 1987년 인천노동자복지협의회 운영위원장

▲ 1999년~2005년 녹색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

▲ 2010년 인천미추홀자원봉사센터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