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주도… 이후에도 8건 기록

인천의 근현대사를 개항장 중심으로 풀어나가다 보면 자칫 강화도의 만세 시위의 위상과 중요성을 지나치곤 한다. 인천의 만세 운동 횟수를 헤아릴 때 강화도를 빼놓은 일부 자료들이 대표적인 예다.
대개 민족 사학자 박은식이 1920년 쓴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인용해 인천의 만세 운동이 8건 벌어졌다고 하는데 이는 개항장과 원인천인 문학산 일대에 한정된 오래 전의 인천이다.
강화도의 만세 시위는 기독교계에서 주도했는데 '강화중앙교회 100년사'에 나온 강화도의 만세 시위만 해도 3월 18일 이후 8건이나 된다.
이병헌이 1959년에 내놓은 '삼일운동비사'에는 강화에서 일어난 10건의 만세 시위를 정리했는데, 같은 날 여러 곳에서 동시다발로 일어난 봉화시위까지 더하면 그 횟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강화도는 섬이라는 지역 특성상 거류 일본인이 적었기 때문에 일본인 조계지가 있었던 인천보다 활발한 만세 시위가 가능했다.
대몽항쟁, 임진왜란, 병인·신미양요 등 과거부터 외세의 침입에 대응했던 강화 주민만의 역사적 동질성도 이런 결집력을 가져다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강화의 만세 시위는 인근 김포와 계양·부평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강화도의 만세 시위는 대한제국 진위대 출신의 독립운동가 유봉진(1886~1956)이 이끌었다. 그는 '결사대장'을 자처하며 죽음을 불사하고 만세 시위의 최일선에 섰다.
강화는 인천 독립운동의 뒷부분에 끼워넣는 '부록'이 아니라 주인공이다. 조봉암, 유두희 등 강화 출신의 독립운동가와 이동휘 등 강화와 인연을 맺은 애국지사의 이야기, 구한말 의병운동까지 더하면 강화의 독립운동 이야기는 날을 새도 모자랄 정도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