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군포·의왕·과천지역 시민단체들이 7일 안양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를 정부에 촉구했다.
이들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금강산 남측시설 철거 및 새로운 관광지구 건설 지시로 금강산 남북협력사업과 남북관계가 중단될 엄중한 상황에 처해있다"며 "그러나 정부는 북미 협상 결과만 바라보며 남북 정상이 합의한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재개에 대해 아무런 조치도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올해 한반도 평화경제 구상, DMZ국제평화지대 구상 등을 연이어 발표했지만, 남북협력의 상징인 개성공단, 금강산관광조차 재개하지 못한다면, 평화경제와 DMZ 국제평화지대는 현실성 없는 말의 성찬에 불과하다"며 "남북관계 당사자의 입장에 서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남북협상을 즉각 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안양군포의왕과천 시민사회단체는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운동 경기도본부'와 함께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재개를 촉구하는 범국민서명 운동과 금강산관광 신청접수운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또 오는 18일에는 강원도 고성 평화회의 참가하는 등 대시민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금강산 남측시설 철거 및 새로운 관광지구 건설 지시로 금강산 남북협력사업과 남북관계가 중단될 엄중한 상황에 처해있다"며 "그러나 정부는 북미 협상 결과만 바라보며 남북 정상이 합의한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재개에 대해 아무런 조치도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올해 한반도 평화경제 구상, DMZ국제평화지대 구상 등을 연이어 발표했지만, 남북협력의 상징인 개성공단, 금강산관광조차 재개하지 못한다면, 평화경제와 DMZ 국제평화지대는 현실성 없는 말의 성찬에 불과하다"며 "남북관계 당사자의 입장에 서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남북협상을 즉각 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안양군포의왕과천 시민사회단체는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운동 경기도본부'와 함께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재개를 촉구하는 범국민서명 운동과 금강산관광 신청접수운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또 오는 18일에는 강원도 고성 평화회의 참가하는 등 대시민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안양/이석철·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