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생산 역사 체계적 조명 필요
인천국제공항이 들어서기 전 염전은 영종도 경제의 한 축이었다. 영종도의 염전 역사는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금도 소금을 생산하는 염전이 있다. 소금 생산방식도 많이 바뀌었다. 고려시대부터 현대적 방식까지 염전의 역사를 꿰고 있는 곳이 바로 영종도다.
하지만 염전의 흔적은 자꾸 사라지고 있고, 옛일을 기억하는 이들도 하나둘 세상을 뜨고 있다. 한반도 소금 생산의 역사를 한데 보여줄 수 있는 영종도, 좀 더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영종도에 있던 '건대염전'은 건국대학교가 조성했다. '건국대학교 70년사'에도 이러한 내용이 소개된다. 영종도 주민 이정국씨의 할아버지는 염전 축조 기술자였는데 건대염전 공사를 맡아 진행했다.
공사 이후에도 할아버지는 염전을 관리했고, 대를 이어 아들(부친)도 염전에서 일했다. 1980년대 염전 일부를 매입했다가 되팔았다. 이정국씨는 건대염전 축조와 관련해 교도소 수감자들이 공사에 동원됐다고 했다.
그는 "염전 공사 때 재소자들이 동원됐다는 이야기를 아버지로부터 들었다"며 "건국대가 어떻게 수감자를 공사에 동원했는지 알 순 없지만, 혼란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 같다"고 했다.
영종도 주민 김홍일씨도 "당시 죄수들이 염전 공사를 한다는 이야기가 동네에 퍼져 있었다"고 했다.
주민들의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수감자들이 민간 학교재단 염전 축조 공사에 동원된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영종역사관 김연희 학예사는 "염전 축조와 관련해 수감자들이 참여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관련 기록을 찾아봤지만, 찾을 수 없었다"고 했다.
영종도 염전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다. 영종도 염전 대부분이 1950~1960년대 조성됐고 20여 년 전에 폐쇄되면서 염전을 기억하는 주민 수도 줄어들고 있다.
지금이라도 주민들의 기억을 더듬고, 기록을 발굴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영종도 주민 허재봉씨는 "염전을 기억하는 주민들이 매년 세상을 떠나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영종지역을 조명하는 작업이 체계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대한민국 나들목' 인천공항 이야기·(3)]영종도 염전
민간 학교재단 염전 축조… 수감자 동원 소문 전해져
입력 2020-02-26 22:33
수정 2020-02-27 13:54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2-27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