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2001000852500041621.jpg
서철모 화성시장(오른쪽)과 권병윤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이 20일 화성시청 대회의실에서 '도심도로 자율협력주행 안전인프라 연구' 실증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화성시 제공

화성 송산그린시티가 자율주행차가 운행되는 미래도시로 만들어 진다.

4차 산업혁명의 꽃이라 불리는 자율주행 기술이 화성시에서 먼저 구현되는 만큼, 경제 효과도 창출될 것이란 기대다.

화성시는 2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한국교통안전공단과 '도심도로 자율협력주행 안전인프라 연구'실증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달 국토교통부가 실증 대상지로 화성시를 최종 선정한데 따른 후속조치다.

실증사업은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이 주관하며 국내 자율자동차 관련 연구기관과 대학, 기업 26개소 등이 참여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2021년 말까지 국비 273억원, 민간자본 91억원, 총 364억원이 투입된다.

화성시 송산그린시티에 조성된 자율주행차 시험장 'K-City'와 새솔동 수노을중앙로 일원 등에서 자율주행 기술개발 및 차량 제작, 교통인프라 구축 등이 추진된다.

실증 기술은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차량이 스스로 주행이 가능한 '레벨4'단계로써 V2X통신(차량과 사물간 통신)으로 주변 차량과 도로 인프라 등을 연동해 안전성이 확보된 자율주행이다.

화성시의 경우 전국에서 가장 많은 자동차 기업이 소재해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율주행 연구, 실험, 실증, 생산 등 미래차 산업의 전주기 인프라를 모두 갖추게 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선도도시로서의 시너지효과를 톡톡히 얻을 것으로 기대했다.

권병윤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화성시와 함께 자율주행 상용화 기반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첨단 모빌리티 서비스가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철모 화성시장도 "이번 사업을 계기로 우리 시 주력산업인 자동차산업을 미래차 산업으로 전환하는 산업고도화 정책을 펼칠 계획"이라며, "무상교통과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을 접목한 융복합 정책으로 시민들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화성시는 자율주행기술과 연계한 MaaS(Mobility as a Service)플랫폼으로 인공지능주행학습 알고리즘 개발, 마이크로 모빌리티 도입, 공유 교통서비스 창출까지 친환경 첨단 교통서비스 구현에도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화성/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