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2501001032400050951
양주시에서 문화관광해설사로 활동하는 김경애씨는 틈틈이 시간을 내 양주지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봉사를 19년째 이어오고 있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

지역 초·중·고 찾아다닌지 19년째
직접 짠 교육과정 교사들 상담교본
자녀위해 헌신한 노인들도 돕고파


2020052501001032400050952
"무턱대고 훈계하면 오히려 반항심만 키울 수 있습니다. 시간은 다소 걸리더라도 문화예술을 활용한 청소년 지도가 효과가 있더라고요."

양주시에서 16년째 문화관광해설사로 일하는 김경애(62)씨는 틈틈이 시간을 내 학교에서 미술치료를 한다.

미술치료는 불안한 학생들의 마음을 진정시켜주는 알약과도 같은 효과를 낸다.

김씨는 미술치료를 위해 양주·동두천지역 초·중·고교를 직접 찾아가 학생들을 만난다. 고민을 들어주고 상담도 해주곤 하지만 학생들과 함께 미술을 즐기는 게 주목적이다.

그는 "즐거운 일을 하다 보면 스스로 닫혀있는 마음의 문을 열게 된다"며 "그때부터 서로 솔직하게 소통하며 고민을 나누게 된다"고 강조했다.

김씨가 청소년들을 상대로 미술치료를 시작한 지는 올해로 19년째다. 그동안 그가 직접 짠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은 이제 일선 교사들에게 훌륭한 상담교본이 되고 있다.

그에게서 미술치료를 받은 학생들은 금방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마음을 연 학생들은 친구나 가족에게조차 털어놓지 못한 고민을 그와 상담하는 놀라운 변화가 일어난다.

김씨는 "미술치료를 지금까지 손에서 놓지 못하는 것은 변변치 않은 실력에도 변화를 보이는 아이들이 있기 때문"이라며 "아이들이 어느새 달라져 있는 모습을 볼 때면 저절로 흐뭇한 미소를 짓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미술치료를 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다. 대상의 특성을 파악해 이들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짜야 해서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그의 헌신이 주위에 알려지며 2008년에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감사장, 2016년에는 행정부장관 표창장이 주어지기도 했다. 2019년에는 청소년 선도의 공로로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장 표창을 받기도 했다.

김씨는 "미래의 희망인 우리 아이들이 건강한 심신으로 밝게 자라는 모습을 보는 게 곧 보람"이라며 "이제는 반대로 자녀를 위해 일생을 헌신한 노인들을 위한 미술치료에도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