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유흥주점 업주들 집회에는 '우리도 세금내는 국민이다', '대책없는 영업금지 굶어 죽으란 말이냐', '우리 부모 자식은 굶어 죽으란 말이냐' 등의 생계대책을 요구하는 현수막이 눈에 띄었다. 안양/권순정기자 sj@kyeongin.com
"대책없는 영업금지 명령 대신 대형과 소형 유흥주점을 가려 행정을 펼쳐주세요!"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 경기도지회 안양시지부(이하 유흥협회 안양시지부) 소속 150여명(주최측 추산 200여명)이 29일 오전 8시30분부터 2시간 가량 안양시청 앞 잔디광장에서 집회를 갖고 안양시 등에 생계 대책을 요구했다. 경기도에서 유흥주점 업주들의 집회는 이번이 처음이다.
유흥주점의 업주 150~200여명이 29일 오전 안양시청 앞 잔디광장에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맞춰 집회 대오를 갖추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안양/권순정기자 sj@kyeongin.com
이들은 지난 5월10일부터 경기도가 고시한 집합금지 행정명령이 6월7일로 연장된 데다 영업제한이 더 길어질 수 있는데도 유흥주점들은 소상공인 대출도 못 받아 임대료와 인건비 등 많게는 월 1천여만원의 운영비를 소득 없이 떠안아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가 확산된 나이트클럽이나 콜라텍 같은 대형 유흥주점과 35평(115.5㎡) 이하의 노래바, 룸살롱, 단란주점 등 소형 유흥주점은 영업형태가 달라 이를 구분해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했다.
안양시 유흥주점 업주들이 화성시의 선례를 언급하며 안양시에 임대료 지원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안양/권순정기자 sj@kyeongin.com
안양 범계역 상권에서 노래바(bar)를 운영하는 김모(47) 씨는 "이용객 밀집도, 하루평균 이용객 수, 가게규모 등 세부화 되고 현실적인 지표로 행정명령을 내려야 한다. 대형과 소형의 영업형태가 다른데도 이를 구분하지 않고 뭉뚱그려 유흥주점으로 묶어 '영업금지'를 내리 것은 '탁상행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인덕원역 상권에서 노래바를 운영하는 조모(60) 씨는 "하루 10여명이 출입하는 소규모 유흥주점은 지난 3월부터 정부가 지시한 대로 출입자 명부를 작성하고 열체크를 해온 반면, 많은 사람들이 찾는 일반음식점은 술과 음식을 나눠먹으면서도 이같은 조처에서 빠졌다. 밀집도 측면에서 어디가 더 위험한가?"라고 반문했다.
이날 유흥주점 업주들 집회에는 '우리도 세금내는 국민이다', '대책없는 영업금지 굶어 죽으란 말이냐', '우리 부모 자식은 굶어 죽으란 말이냐' 등의 생계대책을 요구하는 현수막이 눈에 띄었다. 안양/권순정기자 sj@kyeongin.com
송재은 유흥협회 안양시지부 지부장은 "회원들 90%가 소규모 영업을 하는 분들로 생계형인데도 어떤 조치도 없이 문만 닫으라고 하니 답답하다"며 "임대료만이라도 지원이 되기를 바란다"고 집회 추진의 이유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