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2401001165100057821.jpg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 사건 진상조사위원회'가 24일 광주 소재 나눔의집에서 진상조사위 관계자와 내부제보자, 법인관계자가 자리한 가운데 공개 면담을 진행했다. /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쉼터인 '나눔의집' 논란과 관련해 진상조사위원회가 열렸지만 내부 제보자와 법인 간 이견으로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24일 오전 다산인권센터,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희망을만드는법, 우석대심리운동연구소 등 시민단체로 구성된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 사건 진상조사위원회'는 광주 퇴촌면에 소재한 나눔의집을 찾았다. 이들은 나눔의 집 교육관에서 진상조사위원 4명을 비롯한 내부 제보자 김대월 학예실장, 나눔의집 법인 측 양태정 법률대리인, 나눔의집 우용호 신임 시설장 등 7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개면담을 진행했다. 언론에도 면담현장을 공개해 50여 명의 취재진이 자리했다.

2020062401001165100057822.jpg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 사건 진상조사위원회'가 24일 광주 소재 나눔의집에서 진상조사위 관계자와 내부제보자, 법인관계자가 자리한 가운데 공개 면담을 진행했 다. 이날 비가 내린 나눔의집 앞 전경. /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1시간여 동안진행된 면담은 공익제보자(내부고발 직원)들에 대한 업무배제, 불이익 등이 주된 안건이었지만, 양 측은 부각되는 현안마다 팽팽한 대립각을 세웠다. 갈등이 조장되고 있다는 논란과 관련해 우 신임 시설장은 "출근한 지 3일 차라 내부 고발 직원들과 소통하고 시설 정상화에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진상조사위원들은 공익제보자 보호를 위해 관련 지원단체인 호루라기재단 등과 협의해 국민권익위 진정 등도 검토할 뜻을 내비쳤다. 요양보호사 추가 채용, 신임 법인과장, 논란 후 법인 움직임 등과 관련해서도 양측의 입장이 크게 엇갈렸다.

진상조사위는 "불이익 조치에 대해선 중단해야 할 것이며, 법인 측에선 '노력하겠다'고 말하는 것 빼고는 납득 되는 게 없다"며 "향후 추가적 사실관계 확인을 통해 필요한 부분의 조치를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