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서울대 협의체, 이견 여전
희귀식물 보존… 소유권 이전 주장
1만1335명 반대서명 "합리화 논리"
서울대 관악수목원 전면 개방 요구(7월 1일자 8면 보도)와 관련, 안양시와 서울대가 협의체를 꾸려 3번이나 회의를 했지만 수목원 소유권 이전을 둘러싼 이견으로 답보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안양시와 관악수목원 등에 따르면 안양시와 서울대가 함께 꾸린 협의체는 2018년 1회, 2019년 2회 등 모두 3번에 걸쳐 관악수목원 개방 문제 등을 놓고 협의를 벌였다.
두 기관이 마지막으로 만난 지난 2019년 9월25일, 안양시는 '실무협의회에서 수목원 전면개방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논의하자'고 제안했으나 서울대는 수목원 개방의 필요성에 대해선 공유하면서도 '식물보전'의 문제를 염려해 선뜻 나서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배경에는 서울대가 교육부 소유의 수목원을 무상양도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것과는 달리 안양시 여론이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것과 관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악수목원 측은 시와 협상이 제대로 안되는 데 대해 "교육부 소유의 땅에 안양시가 시민 편의시설을 지을 경우 기부채납해야 하는 현행 제도 때문에 안양시와 서울대의 개방 협상이 진척이 안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서울대가 소유권을 무상양도 받은 수원 소재의 수목원은 일사천리로 주민들에게 개방된 사례가 있다고 소개했다. 정부 소유의 땅에 편의시설을 지을 경우 기부채납하는 현행 제도를 문제 삼아 수목원이 서울대 소유가 돼야 개방 논의가 보다 수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안양시와 주민들은 정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안양시의회는 지난 2017년 7월 만장일치로 '관악수목원 서울대 무상양도 반대건의안'을 의결, 정부에 제출했다. 무상양도 반대를 이끌었던 심재민 전 시의원은 자신의 저서에서 "국가 소유일 때 개방되지 않던 수목원이 서울대 법인 소유가 되면, 수목원에 대한 독점적 관리체계가 구축돼 더욱 근접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주장에 동참한 시민들도 2017년 8월부터 11월까지 안양시민 1만1천335명의 '무상양도에 반대한다'는 서명부를 작성, 중앙정부에 제출했다. 안양예술공원 번영회와 시민단체가 참가한 지난 6월30일 집회에서도 "관악수목원이 서울대로 무상양도 되는 것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바가 있다.
한 시민은 "수목원 무상양도와 전면개방은 전혀 다른 이슈로 분리해 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양/이석철·권순정기자 sj@kyeongin.com
2년째 제자리… 머나먼 관악수목원 전면개방
입력 2020-07-01 22:13
수정 2020-07-02 13:37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7-02 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