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당상수원이 자리해 각종 규제가 있지만, 공공기관이 활동하는 데는 최적의 교통와 입지를 구비한 요충지다."
광주시가 경기도의 낙후지역에 대한 공공기관 이전 추진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알짜 기관을 찾아 이전·유치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선 시는 오는 12일 접수가 마감되는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을 경강선 광주역 인근 역세권에 유치하기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광주시 관내에는 우선 소상공인(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하) 사업자가 2만2천여개에 달해, 도내 인구 30만명 이상 지자체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장상권진흥원이 도내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 자영업자 등 서민경제 활성화 및 육성지원을 담당하는 곳임을 감안하면 광주시에 유치하는 것은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광주는 또 경강선을 비롯 고속도로, 국도·지방도 등 교통 편리성 및 접근성도 강점이다. 시는 경강선 광주역 인근에 진흥원이 자리할 건물이 많은 만큼 정주 여건으로 최적으로 판단된다.
또 광주는 개발 압력이 높은 상황에서 경안시장 인근에 대규모 상권이 예정된 것은 물론 오는 2024년에는 역세권내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설 예정이어서 윈윈(win-win)작용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관내 소상공인들도 유치에 힘을 보태며 적극적인 상황이다.
이와함께 시는 구체적 기관명은 밝히고 있질 않지만 공원부지 등을 활용해 연계해 굴지의 체육기관 이전·유치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어우러져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시 관계자는 "광주시는 경기도는 물론 전국에서도 손가락 안에 드는 중첩규제(자연보전권역, 팔당호 상수원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 1권역 등)로 개발제한 및 재산권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라며 "공공기관 이전이 위축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물꼬를 틔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