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2년 실효를 앞두고 있는 광주 쌍령공원의 개발 방식을 놓고 지역 국회의원과 지자체가 충돌하는 양상이다.

14일 임종성(더불어민주당, 경기광주시을) 국회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시의 쌍령공원 민간개발 추진을 강력 반대한다"며 "시가 앞에선 공적개발을 추진하더니 사실상 뒤에선 민간개발을 결정한 것 아니냐. 전형적인 후진적 행정으로 광주시의 난개발 해소와 발전 기회 모두를 놓쳤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광주시 쌍령동 산57-1일원에 위치한 쌍령공원은 총면적 51만1천930㎡로, 장기미집행공원부지로 분류돼 2022년 5월 실효를 앞두고 있다. 이와관련 광주시는 개발방식을 놓고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며, 어떠한 결론도 공식화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런 가운데 임 의원은 "지난 12일, 광주시가 쌍령공원 등 4개 장기미집행공원에 대해 민간개발 추진 의사를 최종 밝히면서 공적개발사업은 무산됐다"며 "향후 철도사업 등을 고려해 지난 2016년부터 쌍령공원을 포함해 주변 오포읍 양벌리 일대에 대규모 공적개발을 추진해왔고, 광주시의 최종 결정만 남은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선7기 광주시에서 이런 후진적 행정을 보리라 예상 못했다. 매우 실망했다. 앞으로 누가 광주시정을 신뢰하겠나?"고 비판하면서 "광주시가 쌍령공원 등 4개 장기미집행공원을 민간특례사업으로 추진하는데 대해 매우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민간개발 방식에 분명한 반대 입장을 밝힌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시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아직 어떠한 결정도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는게 관계부서의 설명이다. 실제 해당 공원의 개발방식과 관련해 이렇다할 행정절차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편 지역 국회의원의 이례적 입장 발표에 대해 일각에서는 '지자체 고유 권한으로 추진하는 사안에 대해 과도한 것 아니냐'면서도 '민간이든 공적 개발이든 오랜 현안인 만큼 시민을 위한 발전적 방향을 찾았으면 한다'고 전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