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위치·접근성' 우려 제기속
추경 통과… 市 "2022년 완공 목표"


난항을 거듭하던 '광주 공영차고지 조성' 사업(5월14일자 8면 보도=광주시 예산삭감 중단 '공영차고지 조성' 재개)이 다시 추진동력을 얻고 오는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속도전에 나섰다.

광주시의회는 10일 열린 '제280회 임시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2차' 회의에서 2020년도 제4회 추가경정예산안으로 올라온 '광주 공영차고지 조성사업 도시관리계획(변경) 결정 용역'(7억9천여만원)을 통과시켰다.

추경에서 용역비를 확보한 공영차고지 조성 관련 도시관리계획(변경) 결정 용역은 남한산성면 엄미리 163-5번지 일원 차고지 예정지(4만5천533㎡)에서 버스와 화물차 등을 한곳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교통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해당 용역은 올초 제1회 추가경정안 심의에서 전액 삭감 처리돼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렸었다.

시는 그동안 마을버스 공영제와 도심 내 화물차 및 건설기계장비의 밤샘 주차문제 해소를 위한 타당성 용역 결과를 토대로 최종 적합지로 도심 외곽지역인 남한산성면 엄미리를 확정한 바 있다.

이날 우여곡절 끝에 추경안은 통과됐지만, 여전히 공영차고지 관련 위치와 접근성 등에 대해선 우려가 제기됐다.

박상영 시의원은 "곤지암에 있는 화물차주가 이리로 올 것 같은가? 절대 안간다"며 "버스의 경우도 공차거리가 길어져 부담스럽고, KD운송이 참여하지 않는 것도 공차거리 때문"이라며 재검토를 촉구했다.

현자섭 의원도 "여러 요인으로 계속 지적했던 사안인데 왜 엄미리만 고집하나"라고 지적했고, 박현철 의원은 "당초 공영차고지를 추진했던 이유를 잘 되새기고, 시민 불편이 없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에 예산이 통과된 만큼 여러 관점에서 잘 살피겠다. 접근성과 관련해선 권역별로 거점차고지를 마련하는 방안도 고심 중이다"고 전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