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시장, 시의회서 사업방향 밝혀
"LH 공공임대확대 협의통해 준비"

개발방식을 놓고 광주시장과 지역 국회의원, 시의원까지 가세한 이견 차이로 충돌했던 광주 쌍령공원 포함 장기미집행 3대 도시공원(8월18일자 8면 보도=2022년 '일몰제' 앞둔 광주 쌍령공원… '공공-민간' 개발방식 줄다리기)에 대해 '민간공원 특례방식' 추진이 재차 확인됨에 따라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신동헌 광주시장은 14일 진행된 제280회 광주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 답변 자리에서 "도시공원위원회의 자문 결과 일몰제를 앞두고 있는 쌍령·양벌·궁평공원에 대해 민간공원 특례방식으로 가게 됐다"고 사업 방향을 공식화했다.

이어 장기미집행 공원시설과 연계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추진해온 공공임대주택에 대해선 "공공임대주택 확대 및 지원을 통한 서민주거확충은 민선 7기 시정과제에 담겨있고, LH와의 약속을 저버릴 생각은 없다"며 "좀 더 시간을 갖고 협의를 통해 나은 정책으로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신 시장은 특히 공공임대주택 7천 가구 분양 계획안에 대해선,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그는 "7천 가구면 태전지구와 맞먹는 규모여서 가뜩이나 교통난을 겪고 있는 우리 시에 교통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박현철·동희영 시의원은 지난 8일 시정 질문에서 2022년 도시계획시설(공원)에서 해제되는 공원시설을 놓고 민간특례 방식 개발에 우려를 표하며, 공공개발의 필요성 및 당위성을 강조한 바 있다.

시는 지난 2018년 10월 LH와 '광주시 도시발전 기본협약'을 체결하고, 쌍령공원 등 장기미집행공원을 포함해 공공개발 타당성 조사용역을 진행하는 한편 도와 공공연계사업도 펼쳐왔다.

이들은 공공개발을 추진할 경우, 난개발을 방지하고 도로 및 철도 개설 등 국가 광역교통망 조기 구축 가능성이 높아져 대중교통 부족 및 극심한 교통난 해소에 기대가 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