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 중소기업의 터진 사리현공단.
물류·가구·유통·식품 등 탄탄한 기업 28개가 입주해 있는 이 공단의 가장 큰 문제는 마을 입구에서 공단까지 이어지는 200m 길이의 진·출입로다.
공단을 오가는 대형 차량 때문에 도로에 금이 가고 내려앉는 등 안전 문제 뿐 아니라 도로폭이 4m에 불과해 교행의 어려움등 차량 정체 문제가 심각했다.
지난해 4월, 공단은 이같은 애로사항을 시에 제출했고 시는 고민을 시작했다.
올해가 시작되자 지난 1월 이재준시장이 현장을 찾아 사리현공단 업체와 주민들을 만나 해결책을 찾기 시작했다.
해당 구간은 비닐하우스와 가설건축물, 심지어 길주변에 전봇대도 늘어서 있는데다 하천 때문에 도로 폭 확보가 어려워 복잡하고 까다로운 협의가 필요한 곳이다.
이 시장은 예산 부족과 현장 상황 등 공사 진행을 가로막는 문제는 경기도 및 한국농어촌공사와 손을 잡고 해결에 나섰다.
시는 경기도가 지원하는'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을 신청해, 도비 1억6천500만 원을 확보하고 시가 3억8천500만 원을 부담키로 했다.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이란 관내 중소기업의 경영여건 제고를 위해 열악한 기반시설을 정비하고 노동·작업 환경을 개선해 근로자들에게 보다 나은 근무환경을 제공하고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사업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어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농로 시설관리자인 한국농어촌공사와 일괄 위·수탁 계약을 체결했다.
고양시가 사업비를 부담하고, 한국농어촌공사가 설계 및 공사를 맡은 것이다.
고양시·경기도·한국농어촌공사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10월, 사리현공단 진·출입로 확장 공사가 착공했다.
공사는 도로 폭을 4m에서 6m로 넓히고 비포장 구간을 포장하며 과속방지턱과 소하천 둑방 가드레일을 설치해 안전을 확보한다.
공사가 끝나면 원활히 차량이 오갈 수 있어 사리현 공단에 입주한 28개 중소기업과 인근주민 등 500여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사리현공단 입주 기업 관계자는 "도로를 이용할 때마다 폭이 좁아 교행이 어렵고, 하천 쪽으로 추락위험이 있어 늘 불안했다"며 "시에서 적극적으로 현장을 찾아 의견을 수렴하고 불편을 해결해줘 감사하다"고 전했다.
이재준 시장은 "이번 공사는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유관기관과 협의 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의 모범 사례"로 볼수 있다"며 "앞으로도 고양시는 기업의 디딤돌로서 시 관내 중소기업의 도약을 적극 돕겠다"고 약속했다.
경기도가 지원하는'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주요 지원내용은 ▲10개 이상의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기반시설 개선사업 ▲노동환경 개선사업 ▲작업환경 개선사업 등이 있다.
사업에 선정된 기업은 총사업비의 60%를 지원받을 수 있고 10인 미만 영세기업의 경우 자부담 비율을 10% 낮춰 총사업비의 70%까지 지원받게 된다.
지나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누적 571개 기업과 6천여 명의 기업 종사자들의 불편이 해결돼 수혜효과를 보고 있다.
시는 올해에는 사리현동 760번지 농로확포장 사업을 포함해 ▲기반시설 개선사업 1건 ▲노동환경 개선사업 3건 ▲작업환경 개선사업 9건으로 총 13건의 개선사업을 선정해 지원중이다.
이 13건의 사업 추진으로 220여개 기업과 2천여명의 종사자에게 수혜가 돌아갈 전망이다.
물류·가구·유통·식품 등 탄탄한 기업 28개가 입주해 있는 이 공단의 가장 큰 문제는 마을 입구에서 공단까지 이어지는 200m 길이의 진·출입로다.
공단을 오가는 대형 차량 때문에 도로에 금이 가고 내려앉는 등 안전 문제 뿐 아니라 도로폭이 4m에 불과해 교행의 어려움등 차량 정체 문제가 심각했다.
지난해 4월, 공단은 이같은 애로사항을 시에 제출했고 시는 고민을 시작했다.
올해가 시작되자 지난 1월 이재준시장이 현장을 찾아 사리현공단 업체와 주민들을 만나 해결책을 찾기 시작했다.
해당 구간은 비닐하우스와 가설건축물, 심지어 길주변에 전봇대도 늘어서 있는데다 하천 때문에 도로 폭 확보가 어려워 복잡하고 까다로운 협의가 필요한 곳이다.
이 시장은 예산 부족과 현장 상황 등 공사 진행을 가로막는 문제는 경기도 및 한국농어촌공사와 손을 잡고 해결에 나섰다.
시는 경기도가 지원하는'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을 신청해, 도비 1억6천500만 원을 확보하고 시가 3억8천500만 원을 부담키로 했다.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이란 관내 중소기업의 경영여건 제고를 위해 열악한 기반시설을 정비하고 노동·작업 환경을 개선해 근로자들에게 보다 나은 근무환경을 제공하고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사업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어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농로 시설관리자인 한국농어촌공사와 일괄 위·수탁 계약을 체결했다.
고양시가 사업비를 부담하고, 한국농어촌공사가 설계 및 공사를 맡은 것이다.
고양시·경기도·한국농어촌공사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10월, 사리현공단 진·출입로 확장 공사가 착공했다.
공사는 도로 폭을 4m에서 6m로 넓히고 비포장 구간을 포장하며 과속방지턱과 소하천 둑방 가드레일을 설치해 안전을 확보한다.
공사가 끝나면 원활히 차량이 오갈 수 있어 사리현 공단에 입주한 28개 중소기업과 인근주민 등 500여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사리현공단 입주 기업 관계자는 "도로를 이용할 때마다 폭이 좁아 교행이 어렵고, 하천 쪽으로 추락위험이 있어 늘 불안했다"며 "시에서 적극적으로 현장을 찾아 의견을 수렴하고 불편을 해결해줘 감사하다"고 전했다.
이재준 시장은 "이번 공사는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유관기관과 협의 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의 모범 사례"로 볼수 있다"며 "앞으로도 고양시는 기업의 디딤돌로서 시 관내 중소기업의 도약을 적극 돕겠다"고 약속했다.
경기도가 지원하는'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주요 지원내용은 ▲10개 이상의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기반시설 개선사업 ▲노동환경 개선사업 ▲작업환경 개선사업 등이 있다.
사업에 선정된 기업은 총사업비의 60%를 지원받을 수 있고 10인 미만 영세기업의 경우 자부담 비율을 10% 낮춰 총사업비의 70%까지 지원받게 된다.
지나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누적 571개 기업과 6천여 명의 기업 종사자들의 불편이 해결돼 수혜효과를 보고 있다.
시는 올해에는 사리현동 760번지 농로확포장 사업을 포함해 ▲기반시설 개선사업 1건 ▲노동환경 개선사업 3건 ▲작업환경 개선사업 9건으로 총 13건의 개선사업을 선정해 지원중이다.
이 13건의 사업 추진으로 220여개 기업과 2천여명의 종사자에게 수혜가 돌아갈 전망이다.
고양/김환기기자 k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