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비등 도움 '브라더스키퍼' 年 15억 매출기업 성장
'사업하기 좋은 생태계' 조성
학자금대출로 신불자 등록땐 '신용회복 사업'
장학재단과 '채무액 10% 지원' 협약
최대호 안양시장은 스스로를 '청년시장'으로 지칭하며 보다 다양한 청년정책을 펼치고 있다. 2018년 총괄부서인 청년정책관을 신설해 정책의 체계화를 꾀하고 청년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청년정책위원회를 뒀다. 또 청년정책 서포터스가 정책을 발굴하고 모니터링을 하도록 함으로써 청년의 시정참여를 확대하고 있다.
2020년 올해에만 10개 부서에서 34개 사업, 156억원의 예산을 사용해 다양한 청년사업을 추진해 왔다. 안양시 청년정책이 어떻게 효과를 발휘하는 지 사례자 중심으로 살펴봤다.
■ '청년이 성공하는 도시' 청년기업육성 생태계 조성
벽면녹화가 주 사업 아이템인 브라더스키퍼(Brother`s keeper)의 대표 김성민(35)씨는 안양의 청년기업육성 제도로 혜택을 본 이 중 하나다.
그는 사업을 시작한지 2년여만에 연 15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코로나19로 휘청일뻔 했지만 공격적으로 5명의 신규채용에 나서며 9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그는 이 모든 결과가 안양시가 초기 사무공간을 지원하고 시제품 개발비를 지원한 덕이라고 강조했다.
브라더스키퍼는 보호종료청소년이 정서적·경제적으로 자립하게 하기 위한 사회적 기업이다. 김 대표 스스로가 보육원 출신으로 비영리단체에서 보호종료청소년을 후원하고 교육하는 업무를 7년여 진행하면서 이들이 자립하기 위해 선행돼야 하는 것이 교육이 아니라 '마음상처 치유'임을 확신했다.
더불어 식물을 기르는 일이 보호종료청소년에게 심리적인 위안을 준다는 것도 깨달았다. 그는 보호종료청소년을 고용해 식물관련사업을 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보호종료청소년에서 겨우 홀로서기를 한 그에게는 초기자본은 물론 투자자가 있을 리 없었다.
안양시 만안구와 동안구에 '청년오피스'가 있다. 사업계획서를 이메일로 제출하면 창업준비를 위한 개방형 사무공간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사업화 컨설팅도 지원된다.
실제 사업화가 되고 시장에 서비스를 공급하게 되면 개방형 사무공간에서 독립된 사무공간을 지원받을 수 있다. 전문가 코칭 및 투자유치 교육도 진행된다.
안양은 이를 '청년기업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이라 부른다. 이 단계에서는 시제품 제작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최대 1천만원으로 기업 스스로 시제품 제작비의 10% 정도를 매칭해야 한다.
김 대표가 혜택을 본 부분이 바로 이 부분이다. 사업화를 진행할 수 있는 사무실과 시제품제작비를 지원받아 시장에 진입하자 그의 아이템은 여러 곳에서 긍정적인 신호를 받았다.
서울시청 시민청, 경기도어린이박물관, 제주서귀포시청, 이니스프리 강남·명동점, 현대건설 등 다양한 사무실의 벽면을 녹색으로 물들였다. 지난 여름에는 안양시청 로비와 화장실에도 시공했다.
안양창조산업진흥원 관계자는 액셀러레이팅 단계의 청년기업이 현재 20곳 정도 있으며 이중 일부가 스케일업 지원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현재 스케일업 기업은 6곳이 있다. 창업 3~7년 이하 우수기업을 안양창업지원센터, 창조산업진흥원 본원 등 지식산업센터의 입주를 도와 자립토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식산업센터 1년 사무실 임대료를 지원하고 경영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며 해외유명전시회에 참여도 유도한다. 시는 이러한 청년기업육성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청년들이 사업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일궈가고 있다.
■ 청년의 부담을 덜어주는 안양
10학번 이모(33)씨는 대학 입학부터 학자금 대출을 받았다. 부모의 사업 실패가 이씨의 자립 시기를 앞당겼다. 당시 학자금 대출은 대출받은 뒤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는 일반상환대출뿐이어서 학업과 일을 병행하며 대출을 갚고 가족 생활비를 댔다. 하지만 부지런히 살아온 것과는 달리 사회의 평가 잣대는 달랐다.
취업시장에 나서면 그의 성실함과 책임감 등은 스펙 보다 뒤에 평가됐다. 이씨는 억울함에 다시 대학원을 학자금 대출로 졸업했다. 대학원 덕분에 미국 취업에 성공, 고생이 끝났다 싶었지만 다시 직장이 불안해지면서 대출 상환도 어려워졌다.
한국장학재단은 그에게 '부실채무자' 딱지를 붙이고 전액 상환을 독촉했다. 휴대전화 이용과 신용생활이 막혔다. 그는 "셀 수도 없이 밀려오는 자살충동을 가족에 대한 책임감으로 버텼다. 내가 사라진대도 빚 독촉장이 가족 앞으로 날아들테니…"라고 회상했다.
이씨의 상황은 부실채무자 신용회복 지원사업을 만나면서 나아졌다.
안양시는 지난해 6월 한국장학재단과 협약을 맺고 관내 1년 이상 거주한 만 39세 이하 청년이 학자금 대출로 신용유의자(신용불량자)로 등록됐을 경우에 한해 1인당 총 채무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초입금을 100만원 이내에서 지원하고 있다.
사업시행 첫해인 지난해 17명이 1천198만9천원으로 신용을 회복했고, 올해에는 관내 거주기간을 6개월로 줄여 22명이 일상생활을 돌려받았다.
이씨도 그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이걸 지원받아야 하는 입장에서는 이미 몰릴 대로 다 몰린 상황에서 약간의 지원과 함께 상환 환경을 조정해 주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만으로도 마음 편하게 생활할 수 있다"며 "취업이 잘돼 제가 낸 세금으로 이런 도움을 계속 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안양시는 청년자립·성공·행복을 목표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자신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꼭 시의 청년 정책을 살펴보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안양/이석철·권순정기자 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