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국 5개과 신설·일부 과 통폐합
市 정원도 67명 증가 1070명으로
"승진 정체 해소 조직 활력" 찬성
"농민단체 마찰 등 걱정" 반론도

안성시가 대규모 조직개편 이후 첫 인사 단행을 예고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공직 및 지역사회가 기대와 우려가 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6일 시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민선 7기를 맞이해 변화하는 행정 수요 대응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행정조직 개편 관련 조례를 개정하고, 입법예고 및 공표 등의 행정절차를 완료했다.

시가 추진한 조직개편은 기존의 조직에 1개국 5개과를 신설하고, 일부 과들을 분리 및 통·폐합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과와 팀의 명칭을 변경하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개편된 조직을 살펴보면 행정안전국과 복지교육국, 경제도시국, 주거환경국 등 4개국으로 재편성되며, 징수과와 도시시설과, 주택과, 문화예술사업소 등이 신설된다. 본청 소속이었던 농업정책과와 축산정책과는 안성시농업기술센터로 이동한다.

별도 조직으로 운영되던 상수사업소와 하수사업소, 시립도서관 등은 본청으로 이관돼 상수도과와 하수도과, 도서관과로 명칭이 변경돼 운영된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시 정원도 67명이 증가한 1천70명으로 늘어나며, 이에 따른 13억9천여만원의 인건비도 증가한다.

시는 이같은 조직개편을 토대로 이날 인사 예고를 실시한 뒤 8일에 인사위원회를 개최하고, 11일 상반기 승진 및 전보 인사를 단행할 계획이다.

이같은 시의 계획을 두고 공직 및 지역사회에서는 기대 반 우려 반의 시선을 보내며 갑론을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서 기대하는 측은 "대규모 조직개편으로 그동안 정체돼 있던 승진 인사 문제가 해소돼 조직에 생기가 돌 것"이라며 "시대 흐름에 맞는 세분화된 조직 운영이 실현돼 더 나은 행정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반면 "개편된 조직을 보면 어떠한 조직에 변화를 줘 구체적으로 무엇을 바꾸겠다는 의지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데다가 조직개편을 두고 집행부와 시의회 간의 충돌, 농민단체들과의 마찰을 빚는 등 출발부터 삐걱거렸던 모습을 봤을 때 제대로 운영이 될 지도 걱정스럽다"는 우려 섞인 반론도 만만치 않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