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내 매립시설 용량 부족·노후화
수도권매립장 종료 후 대책 필요
郡, 2023년까지 20억여 원 투입
현재 매립시설에 4단 제방 증설
소각시설 신설 등 용역진행 방침
가평군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등이 포화가 임박, 공공폐기물 시설 확충 등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오는 2025년 수도권매립장 종료와 함께 조성용량(91%) 포화상태가 임박한 군 매립시설 매립장 여건 등이 맞물리면서 생활폐기물 처리를 두고 가평군의 고심이 한층 더 깊어지고 있다.
14일 가평군에 따르면 현재 군은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MBT, 2012년), 매립시설(1996년), 재활용선별 시설(2007년)과 수도권매립지 반입(2018년) 등으로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지난해 폐기물은 매립용 3천100여t, 소각용 1만3천500여t, 음식물 6천100여t, 재활용 4천900여t 등 총 2만7천600여t 이 발생했다. 하지만 수도권 매립장 종료, 군 매립시설 용량 부족과 생활 폐기물 전처리시설 노후화 등으로 생활폐기물 적정 처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군은 전처리시설을 통해 가연성·음식물 쓰레기는 중간처리 과정 등을 거쳐 각각 소성로 연료와 농가 보급용 퇴비로 활용하고 있지만 잔재물은 수도권 매립장과 군 매립장에 반입 처리하고 있다.
수도권 매립지 반입량은 연 2천700여t 규모다. 군 매립시설은 3만3천800㎡ 면적에 45만7천㎥ 용량이다. 무게로 환산하면 연 3천여 t에 이른다.
오는 2025년 수도권매립장 종료 이후에는 기존 연 3천여t에 두 배인 연 6천여 t이 군 매립시설로 반입돼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군은 2023년까지 20억여원을 투입해 현재 매립시설 상부에 4단 제방을 증설, 11년 사용 가능한 13만6천t의 용량을 추가 확보하는 동시에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신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폐기물은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해당 지자체가 처리해야 해 공공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한 기반시설 설치가 시급하다"며 "향후 용역 결과에 따라 사업추진 방식과 입지선정 절차를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